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Q 그 곤충이 갈로아벌레인 걸 알아본 게 더 신기해요. 곤충을 진지하게 공부하기 시작한 계기가 있어요. 초등학교 4학년 때 우리나라에서 신종 사슴벌레가 겨우 2년 전에 발견됐다는 걸 알게 됐죠. 그걸 발견한 사람이 직접 ‘털보왕사슴벌레’라는 이름을 붙여줬다는 게 신기하고 멋있어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농도가 나쁜 하늘이 지속되는 거랍니다. 우리나라 미세먼지는 보통 11월부터 나타나기 시작해 2~3월까지 지속돼요. 그런데 최근에는 미세먼지가 점점 더 빨리 발생하고 있어요. 올해는 지난 10월 15일에 처음으로 미세먼지가 발생했고, 11월 초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찾아왔지요. 이처럼 고농도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자신이 태어났던 강으로 정확하게 돌아온다고 알려졌어요. 알을 낳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면 이동하는 것에 열중해 음식도 먹지 않지요. 연어는 환경에 맞게 몸도 변화시켜요. 강에서 바다로 나갈 때는 아가미가 소금을 몸 밖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닷물에 살다가 강으로 돌아올 때는 몸의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딸기 따는 로봇 좀 못 만드냐고 했더니 대뜸 쉽다고 답하는 거예요. 그래서 무턱대고 시작했죠. 소프트웨어는 형이 만들고, 로봇 본체는 같이 만들고 있어요. Q 로봇을 개발하는 게 어렵지 않나요?제가 공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조금씩 배워가며 하고 있어요. 하루는 로봇이 너무 커서 로봇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배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우리가 드디어 세 번째 아이템을 찾은 것 같구나.” 아저씨는 채윤이와 수호에게 낡은 나무 상자를 내밀었어요. 상자 뚜껑을 열자 안에서 초록색 ... 세 개를 모두 끼우고 작동시킨 것 같아.” 갑자기 채윤이와 수호가 어디론가 빨려 들어가기 시작했어요. “앗, 으아악~! 사람 살려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줄기의 마디가 소 무릎을 닮은 쇠무릎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쇠무릎’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도 있어요. 11월은 쇠무릎의 뿌리를 수확하기 시작하는 시기랍니다. 쇠무릎은 습한 곳을 좋아하니, 그늘진 곳에 가면 쇠무릎을 찾아 줄기의 마디를 확인해 보세요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성무성, 김정훈, 정이준 선생님이 함께 충남 보령의 웅천천으로 이동해 민물고기 탐사를 시작했어요. 이날 멸종위기종인 감돌고기도 발견했지요. 이날 탐사에 참여한 지사탐 어벤져스 정이준 선생님은 “웅천천은 멸종위기 1급 보호종인 감돌고기의 서식지로, 개발로 인해 자취를 감췄던 ... ...
- [시사과학 뉴스] 햄에서 나온 세균, 왜 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지난 10월 초, 천안에 사는 한 소비자가 불량식품 신고센터에 접수를 하면서 시작됐어요. 통조림 햄 청정원 ‘런천미트’의 색이 노랗고 냄새가 난다고 신고를 한 거예요. 신고를 접수한 천안시청은 이 런천미트를 만든 대상식품 천안공장에서 해당 제품을 수거했지요. 그 뒤 식품의약품안전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때 냄새가 나는 기능까지 있으면 더욱 재밌을 것 같다”고 말했지요. 그러나 타이탄은 시작에 불과했어요. 페스티벌은 VR과 드론, 자율주행차 등 놀거리와 체험거리로 가득했답니다. 구슬아이스크림, 직접 만들면 맛이 두 배! 기자단은 독일 종합화학회사 바스프의 체험 부스에서 ... ...
- Part 1.미래 직업, 삶이 맘에 안 들면 농부가 돼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일하던 코이케는 도시 생활에 싫증을 느껴 2015년부터 부모님의 오이 농장을 돕기 시작했어요. 귀농 이후 코이케는 오이를 분류하는 작업에 큰 문제를 느꼈어요. 오이의 크기와 두께, 색깔, 질감, 흠집을 일일이 살피는 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렸거든요. 코이케는 “분류 체계를 배우는 데 몇 달이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