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위기 극복한 4세대언어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수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가 매우 지능적으로 보이도록 만들어 주기도 한다. 기계는
지식
의 매우 특정한 분야에서는 전문적인 기능을 인간보다 훨씬 잘 수행할 수 있는데, 이의 수행을 위해 개발된 언어를 '5세대언어'라 부른다. 이외에도 5세대 컴퓨터는 고도의 병렬처리기능을 갖는다. 한가지 ... ...
암대책에 허점많다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셋째는 개업의들에게(특히 지방) 암에 관한 최신정보가 잘 전달되지 않는 점이다. 즉 전문
지식
의 유통관리에 구멍이 뚫렸다는 얘기다.넷째는 정책의 결여이다. 전문가들은 보사부가 암문제를 소홀히 다룬다고 비난하고 있다. 특히 암대책을 세우는 데 기본이 되는 역학(疫學)조사가 극히 빈약한 ... ...
인공지능연구 상당한 진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컴퓨터는 사전
지식
이 없는 한 결코 이 문장을 이해할 수 없다. 먼저 '컵'에 대해 사전
지식
을 가져야 한다. 용도 모양 손잡의 위치 등등. '사람' '물' '마신다' 등의 개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법대학생이 갖고 있는 상식을 컴퓨터가 이해하기 위해 2만대의 미니컴퓨터가 동원돼야 할 정도다.그러나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별의 죽음'이라 불리우는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의 폭발에 대해 빠뜨리고 있는
지식
이 있었다. 그것은 별의 중심이 수축하는 과정에서 극히 짧은 시간-추천분의 1초-동안 약간 부풀어올랐다가 폭발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점은 천문학이론이나 관측으로는 도저히 포착하기 어렵다. 지난 10년 동안 ... ...
과학적 사고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어떠한 변화가 일어나도 전체의 양은 일정하게 보존된다는 논리이다. 이 보존논리는 과학
지식
을 창안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사고능력이며 어떤 변화를 합리적으로 설명하기위해서는 보존논리가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10. (1) 조합논리에 관한 문제. 문제를 해결 하는데 있을 수 있는 모든 경우를 ... ...
세일즈 엔지니어 우리기술을 세계에 팔며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으므로 판매분야에서 엔지니어들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다. 고객들이 자동차에 대한
지식
을 폭넓게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세일즈맨은 더욱 피나는 노력이 요구된다. 이 점에서 자동자공학을 전공한 사람은 대단히 유리하다. 더구나 해외에서 외국의 자동차와 경쟁을 할 때는 우리 기술을 ... ...
지능형컴퓨터개발 본격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글의 처리가 자유롭고 △문자뿐 아니라 음성영상으로 입출력이 가능하며 △전문
지식
을 갖춘 국산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내부방침을 정했다.이 프로젝트에는 전자통신연구소 컴퓨터기술연구단(단장 오길록박사)을 중심으로 일부 대학과 컴퓨터연구조합 소프트웨어산업 협회 등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왜 생겨났고, 어떻게 생겨났는가에 대해 보다 정확히 알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지식
의 진보에 힘입어 인류가 멸망한 후의 우주의 모습에 대해서도 상당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의산문답'에 나타난 단편적인 내용을 보더라도 그의 사상은 단순히 서양천문학의
지식
을 답습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자연관과 우주관에 근거하여 전통적인 유학(성리학)의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논리를 전개했음을 알 수 있다.우리가 배우는 과학은 거의 다 서양과학이다. 그렇기 ... ...
수동적 자세로는 뒤지기 마련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내가 대학생활을 말하기는 어렵지만 나름대로 생각한 게 있다. 대학4년이 결코 전문
지식
을 완전하게 배우는 기간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기초와 쉬운 응용들을 한번씩 소개(?)하는 정도의 교육이라는 생각이다. 즉 우리의 대학은 이미 엘리트교육의 장(場)이 아니고 보편교육이 이뤄지는 곳이라는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