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량
계측
계량
관측
생각
추측
module
d라이브러리
"
측정
"(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맹인견 대신할 전자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시력이 약한 사람들이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인공눈이 개발됐다.일본 교토기술연구소의 토다요시 시오야마 박사와 모하마드 우딘 박사는 소형 카메라 한 대로 ... 위해 언제 횡단보도를 건널지 소리로 알려주는 음성 안내 기능도 부착됐다. 이 결과는
측정
과학기술 저널 최신호에 발표됐다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형태에서 다양한 기하학적 모양을 갖게 되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만으로 바람의 영향을
측정
하기가 어려워졌다. 요즘에는 초고층 건물을 일정 비율로 축소한 뒤 인공 바람을 일으켜 건물의 반응을 평가하는 풍동실험을 자주 이용한다.2001년 뉴욕 세계 무역센터가 비행기테러로 무너진 뒤 초고층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받은 별무리다. 이 세별은 천구에서 적도상에 위치해 있다. 그 때문에 망원경의 시야
측정
이나 극축을 맞출 때 가장 많이 활용되는 별이기도 하다. 이 세 별은 동쪽에서 떠오를 때는 세로로 늘어서서 떠오르지만 서쪽으로 질 때는 옆으로 나란히 늘어서서 지게 된다. 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그 모습이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7명에게 센서를 붙인 뒤 훌라후프를 돌리게 했다. 돌리는 속도를 달리하면서 뇌의 변화를
측정
해 뇌가 훌라후프를 돌리기 위해서는 한번에 18가지의 생각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무릎과 발목, 그리고 허리의 관절들을 입체적으로 움직이기 위해서다.또 연구팀은 비디오촬영을 통해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합하면, 반사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특정 입사각의 각도가 변한다. 따라서 이를
측정
해 후각수용체분자와 냄새분자의 결합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금나노입자로 탄저균 검출나노 크기의 금 알갱이가 2차 트랜스듀서로 쓰이기도 한다. 용액 속에 고루 분산돼 있다가 뭉쳐지면 색깔이 변하는 금나노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영역을 선점할 수 있다는 게 내 신념입니다.”문 박사는 이 사업을 통해 “나노
측정
기술이 새로운 생명과학 정보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자신감 넘치는 그의 표정에서 진정한 융합의 파워가 선보일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가 한껏 묻어난다.문 박사는 요즘 과학자로서 자신의 역할이 ... ...
1. 분자로 나노기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달려있는데 가위가 접힐 경우 밝기가 줄어든다. 연구자들은 형광의 밝기변화를
측정
해 실제 이런 움직임이 일어남을 증명했다. 이 결과는 그 아이디어의 기발함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나노엘리베이터 등장 자연계에 존재하는 생체분자기계의 핵심부분만 모방해 좀더 간단한 구조를 갖는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거짓말 탐지에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 1991년 미국의 로렌스 파웰 박사는 p300을
측정
해 거짓말이나 범행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익숙한 자극(목표자극)에 노출됐을 때 자신도 모르게 뇌파가 발생한다는 원리를 거짓말 탐지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조사관은 그저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우리의 손가락이 10개라는 사실로부터 비롯됐고, 사람들은 손을 이용해 물건의 수량을
측정
했다. 손동작은 이렇게 해서 기호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고, 이것이 다시 음성으로 표현됐다. 사람들이 손동작과 음성 기호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게 되면서 숫자는 손가락을 벗어날 수 있었고, 문자로써의 ... ...
미분방정식 풀어 애니메이션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얻을 수 있다.이 교수팀에서는 이밖에도 나노분야에 필수장비인 원자현미경의
측정
결과를 제대로 표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 연구 등을 진행하고 있다.현재 계산수학연구실에는 박사후과정 1명, 박사과정 4명, 석사과정 4명이 연구하고 있다. 특이한 사실은 이들 가운데 3명은 수학과 출신이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