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 조선해양공학과, 72년의 역사 ‘세계 최고’의 자부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각종 규정을 만드는 기관으로, 미국과 영국, 노르웨이, 프랑스의 선급협회가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과거에는 국내 조선 업계에서 경험을 쌓고 해외 선급협회에 취업했는데, 한국 조선공학의 위상이 높아져 지금은 실무 경험 없이도 대학원을 졸업하고 바로 해외 선급협회에 ... ...
- [이투스교육] 봉사활동 제대로 하는 세 가지 팁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작용하며 평가에 반영되겠지만, 봉사활동은 그 중에서도 인성과 전공적합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핵심평가요소의 세부평가항목을 통해 유추할 수 있다. 최근 사회적으로 학업성취도뿐 아니라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대입 전형에도 인성평가가 도입됐다. 인성을 평가하는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매번 최선을 다해 접어야한답니다. 늘 새로운 도전을 안겨 주는 종이비행기는 제게 큰 매력이지요.” 종이비행기 안에 항공 역학이!“어떻게 하면 특별한 종이비행기를 접을 수 있나요? 비법을 알려주세요!” 김서진 기자단 친구의 질문에 멀리 날리기 종목의 김영준 선수는 먼저 두 종류의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만들었지요. 지금이야 매우 식상한 모양이지만 당시에는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오랫동안 큰 사랑을 받았습니다. 오죽하면 1970년부터 2002년까지 축구공 표면의 디자인만 바뀌었을 뿐 모양 자체는 텔스타와 똑같은 깎은 정이십면체였겠어요. 2006 독일 월드컵에서 FIFA는 아주 색다른 공인구를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합이 360°인 두 각을 ‘켤례각’이라고 하는데, 이중 180°보다 작은 각은 ‘열각’, 큰 각은 ‘우각’이라고 합니다. 비슷하게 ‘여각’과 ‘보각’도 있습니다. 30°와 60°처럼 합이 90°인 각을 서로 여각이라고 하고 180°면 보각이라고 하지요. 별별 이름을 다 붙였죠? 새로운 단위, 라디안!새로운 ... ...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받는데, 듀랑고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술적인 한계에 봉착할 때마다 이를 해결하는 데 큰 힘이 됐다.어떻게 게임 개발자가 됐나공부가 재미있기는 했지만 자연과학 분야에서 진로를 찾기에는 고민이 많았다. 내가 어떤 일을 잘 할 수 있을까 고민한 끝에, IT 기기, 그 중에서도 스마트폰과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있는 얼음결정의 양과 얼지 않은 수분(비동결 수분)의 양의 비율도 아이스크림의 질감에 큰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소프트 아이스크림을 만드는 기계는 영하 4~6도에서 아이스크림을 만들기 때문에 얼음결정(약 45%)보다 비동결 수분(약 55%)의 비중이 더 높아 부드러운 질감을 줍니다. 만약 이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공학프런티어캠프’였다. 대학원 연구원들이 진행하는 슬로싱 실험을 체험하면서 큰 흥미를 느꼈다.슬로싱이란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움직이면서 저장 공간의 벽면에 충격을 주는 현상을 말한다. 액화천연가스(LNG)를 운반하는 선박은 영하 164도의 극저온으로 액화시킨 천연가스를 저장탱크에 실어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이단 판정을 받았답니다. 하지만 그의 생각은 이후 학자들에게 큰 통찰을 주었어요. 태양계만 생각하던 학자들이 우주의 다른 별과 행성을 생각할 수 있도록 길을 터 준 셈이지요. 가설2 우주 공간엔 끝이 있다. 다만 관측할 수 없을 뿐! 현재 과학자들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큰 지진을 일으켜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포항지진은 국내 지진 피해 사상 가장 큰 피해를 남겼다. 이로 인해 지열개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생긴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화석연료를 대체할 에너지원이 마땅치 않은 상황에서 지열에너지는 우리가 포기할 수 없는 자원이라는 것도 사실이다 ... ...
이전2942952962972982993003013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