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운 감돈 서울대병원 집단휴진 첫날…"외부인은 나가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강남센터 등 4곳의 서울대병원
교수
중 54.7%가 이날 휴진에 참여했다. 비대위는 휴진은 의료진들이 꺼낼 수 있는 ‘마지막 카드’라고 밝혔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17일 “의료 붕괴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는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볼 ... ...
'양자얽힘' 이용해 지구 자전 속도 측정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현상이 실험적으로 확인됐다. 필립 발터 오스트리아 비엔나대 물리학부
교수
연구팀은 얽힌 광자를 이용해 지구의 자전 속도를 측정하고 연구결과를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광자는 빛의 입자로 두 개 이상의 광자가 서로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얽힌 ... ...
"남미 안데스에선 온실가스가 가뭄 해결사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의문을 제기하며 인간 활동의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필요성을 제시한다. 감종훈
교수
는 "저개발국·개발도상국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 기후 피해가 상대적으로 더 크지만 선제적인 대응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러한 국가들을 위한 연구와 함께 인간의 활동이 자연에 미치는 영향을 ... ...
태양열 반사 스마트섬유...도시열섬현상 대비책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여름철 작업 안전을 지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쉬포춘 미국 시카고대
교수
연구팀은 분자 수준에서 섬유의 구조를 최적화해 우수한 태양복사열 반사율을 확보하고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일상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도시열섬현상은 현대인의 ... ...
'휴진 D-1' 서울대병원·국회 회동…무기한 휴진 막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집단휴진 및 총궐기대회가 열린다. 이날은 전공의, 개원의, 40개 의대 소속 전국의대
교수
협의회 등이 참여한다. 이날 하루 휴진이 심각한 의료공백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16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8일 휴진 신고를 한 의료기관은 4.02%다. 휴진 신고 없이 휴진에 동참하는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기술로 무게 문제를 극복했다고 보고 있다. 김종한 인하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는 "로켓의 무게를 극복하기 위해 큰 추진력을 내는 기술을 개발했겠지만 그게 전부는 아니다"라면서 "스페이스X는 발사체가 공기의 저항을 덜 받고 마찰열을 줄이는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기술을 갖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2D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효율 높이는 새 전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페로브스카이트 표면을 2차원(2D)으로 표현한 것이다. 아디티야 모히테 미국 라이스대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각광받는 포름아미디늄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개발 템플릿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3일(현지시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 ...
"석유 나올 것"…'젊은 땅' 포항·영일만에 눈독 들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석유·가스를 가두는 구조인 트랩을 형성한다. 강천구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초빙
교수
는 "이 제반 요소가 석유가 있는지 없는지를 예측할 수 있는 핵심"이라고 했다. 물론 석유 생성 조건에 부합한다고 해서 석유가 항상 나는 것은 아니다. 변수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빈 공간을 의미하는 ... ...
바퀴벌레도 잡는다는 '풋샴푸' 정체는
과학동아
l
2024.06.15
대한 평가와 검증이 이뤄지기 때문에 사용 지침을 지켜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 이덕환
교수
는 이번 사례를 보며 "생활화학용품에서 명시된 방법과 다르게 사용하는 것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는 것 자체를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검증되지 않은 사용은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고 이에 대한 피해와 ... ...
기후변화로 '단식 기간' 늘어난 북극곰, 2030년대 멸종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치명적일 것으로 보인다. 줄리엔 스트로브 캐나다 마니토바대 지구관측과학센터
교수
팀이 허드슨만의 평균기온이 2.1℃ 이상 상승하면 해당 지역에 사는 북극곰의 '단식 기간'을 한계 이상으로 증가시켜 번식과 생존에 심각한 위협을 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13일(현지시간) ... ...
이전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