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4,84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
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07
사실을 알았다.마찬가지로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북극성 주위 별은 매일 시계 반대
방향
으로 1°씩 더 회전한다. 따라서 문제(3)의 정답은 북두칠성이 1°×90일=90°만큼 더 돌아간 B다. 문제(4)의 정답은 물론 A가 된다. 즉 북두칠성은 지난 1년, 3백65일 동안 북극성 주위를 3백66바퀴 회전한 것이다 ... ...
맨몸으로 즐기는 인공파도·서핑·미끄럼틀
과학동아
l
200107
빠른 속도로 철망 근처에 있는 입구를 통해 다시 풀장으로 내보낸다. 이때 입구가 한
방향
으로 향해 있어 물이 흐르는 것이다.2.4t의 물벼락 해골바가지 1998년 7월 31일 밤 10-11시 사이에 전라남도 순천에는 1백45mm의 폭우가 내렸다. 이 기록은 역대 시간당 강수량의 최대치다. 이에 대해 하늘이 양동이 ... ...
새롭게 밝혀진 피라미드의 신비5
과학동아
l
200107
이뤄진 야르당이 기자 고원 동쪽에 우뚝 솟아 있었을지도 모른다. 고대 기술자들은 바람
방향
으로 불쑥 솟아있는 부분을 파라오의 머리 모양으로 다시 다듬고, 터번을 씌웠을 것이다. 그리고 사자 몸체 주위에 참호를파 사자의 다리를 조각했을 것이다. 바로 기자의 스핑크스다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06
( )I 정답 해설 I우리나라에서 남서쪽 하늘에 떠있는 별은 시간이 지나면 오른쪽 아래
방향
으로 진다.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D다. 지구 자전에 의해 하늘은 시간당 약 15°씩 회전하므로 4분 동안에는 약 1°기울어야 한다.지구는 자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1년에 한번씩 해를 공전하기도 한다. 따라서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06
가진 휴대용 측정장치를 전화선이나 무선통신장치에 연결해 자신의 자료를 보내고, 쌍
방향
케이블 TV나 텔레비전 전화, 또는 대화방식의 인터넷을 이용해 의사와 대화하면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환자가 직장에서 근무하면서, 또는 시내를 자유로이 걸어다니면서도 바이오센서를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06
일어났다.미국의 과학자들이 심해잠수정 앨빈호로 남태평양의 갈라파고스섬 북동
방향
3백20km 지역을 탐사하는 중 수심 2천7백m 심해바닥에서 수백℃에 이르는 열수를 뿜어내는 분출구를 발견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 주위에는 지금까지는 보지 못했던 심해미생물이 바닥에 매트처럼 펼쳐 있었다. ... ...
2002 이공계 심층면접 실전대비
과학동아
l
200106
박쥐는 초음파를 발사하고 이것이 돌아오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장애물의 위치와
방향
을 알아내죠. 과학자가 수백마리의 박쥐를 자세히 관찰하고 이를 귀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초음파를 쏜다는 걸 알아냈겠습니까? 그게 아니라 레이더에 대해 알고있던 과학자가‘혹시 레이더에서 전파를 쏘는 ... ...
80세나 수명 늘려준 남두육성
과학동아
l
200106
남두육성은 서양의 궁수자리를 구성하는 별들로 이뤄져 있다. 궁수자리는 은하수의 중심
방향
에 있는 별자리로 유명하다. 여름철 하늘을 수놓는 은하수의 남쪽 끄트머리 근방에서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인데, 백조자리 데네브와 독수리자리 알타이르를 잇는 선을 두배 늘려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찾을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06
자료가 엄청나게 많다. 이들 처리에는 초대형 컴퓨터가 필요한 상황이었지만 NASA는 다른
방향
을 모색했다.관측 자료의 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비용을 줄일 수 있기 위해 센서와 컴퓨터를 하나로 만들려고 했다. 다름아닌 스마트센서의 개념을 도입했다. 스마트센서는 대상의 물리량을 측정하고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06
밖으로 내보내기 위해서 1분에 수백-수천번 회전하는 펌프를 이용해서 기체분자를 배출구
방향
으로 향해 친다. 마치 야구의 타자가 날아오는 공을 쳐서 담장 밖으로 내보내는 홈런과 비슷하다. 이때의 압력 측정에는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는 방법이 쓰인다. 용기 내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킴으로써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