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4,292건 검색되었습니다.
2. 40억년 전 비밀 캐는 끝없는 논쟁 생명의 기원
과학동아
l
199609
밝혀진 것이다. 점토가 생명의 조상 한편 스코틀랜드 글래스고 대학의 케언스-스미스는
최초
의 복제 체계가 무기물인 점토 구조였다고 주장해 커다란 충격을 던졌다. 수많은 얇고 아름다운 층으로 이뤄진 규산염이 단백질이나 핵산을 앞선 생명의 조상이라는 것이다.예를 들어 고령석은 ... ...
96청소년 과학놀이 경연대회
과학동아
l
199609
LG그룹의 의지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해도 좋다는 얘기였다.이번 행사는 전국 규모로 열린
최초
의 과학놀이 경시대회였다. 하지만 아쉬움이 남는다. 아무래도 서울에서 열린 만큼 지방 학생들이 참가하기 힘들었다는 점이다. 부산과학교사모임을 이끌고 있는 김옥자(부산배화학교)선생은 일본의 예를 ... ...
사형장까지 논쟁 몰고간 에디슨의 음모
과학동아
l
199609
선보였다.웨스팅하우스의 승리를 결정적으로 마무리지은 일은 나이아가라 폭포에 세계
최초
의 수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공사를 맡은 사건이었다. 하지만 에디슨이 완전히 패한 것은 아니었다. 나이아가라 발전소에서 버펄로시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을 만든 회사는 제너럴 일렉트릭사였는데, 이 ... ...
2. 나는 인터넷을 얼마나 좋아하나
과학동아
l
199609
얼마나 인터넷을 자주 사용할까. 인터넷에서 무엇을 얻고 있을까. 과학동아에서는 한국
최초
의 인터넷BBS인 KIDS의 동호인 9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인터넷을 통해 실시했다.1. 인터넷은 남녀를 구별하지 않는다인터넷을 사용하는 데는 남녀 구분이 없는 듯. ... ...
아마추어 천문 가이드
과학동아
l
199608
납치했다고 한다.독수리자리 에타(η)별은 ‘원철 스타’로 불리는 변광성이다. 한국인
최초
의 천문학박사인 이원철씨가 쓴 박사학위 논문에서 주인공이 됐던 별이다. 에타별은 독수리자리 왼쪽 우산살의 중간에 있으며 가장 밝은 케페이드 변광성의 하나로 7.2일 가량을 주기로 그 밝기가 3. ... ...
전자주민증
과학동아
l
199608
모두 훑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불편하다.IC카드는 1974년 프랑스의 로랑 모레노가
최초
로 발명했다. 그후 프랑스에서는 1984년 공중전화카드, 1988년에는 신용카드에 도입하면서 실용화됐다. 그러나 국민 전체의 신분을 증명해주는 전자주민증은 세계에서 처음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와 ... ...
불면증 치료에서 항암제까지
과학동아
l
199608
제기돼 왔다. 1889년 송과선이 사람의 사춘기를 시작하는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는 가설이
최초
로 제시됐다.송과선암을 앓는 4살의 사내아이가 신체적으로 사춘기 증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송과선의 기능이 망가졌다는 것은 멜라토닌의 분비가 억제됐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당시 과학자들은 ... ...
1. 사이버캐시통화 2010년 1조달러
과학동아
l
199608
있는 중이다.신용과 편리함 동시에 갖춘 사이버캐시 사이버캐시(CyberCash)사는 세계
최초
로 인터넷에서 전자상거래 및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창업자인 윌리엄 멜튼은 판매시점에 크레디트 카드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거래의 안전성면에서 단연 선두에 나섰다.사이버캐시는 ... ...
중국이 목판인쇄 고집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08
직지심체요절’은 1377년에 금속 활자로 찍은 것임이 판명돼 우리나라가 금속 활자를
최초
로 만들었음이 세계적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여기서는 중국과 서양의 인쇄술을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기 때문에 우리나라 얘기는 일단 논외로 하자.서양에서는 15세기 중엽 구텐베르크가 금속 활자와 활판 ... ...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08
알려져 있다. 이들의 모습은 작고 도마뱀처럼 생겼다. 특히 2개의 뒷발로 걸어다닌
최초
의 2족 보행 파충류로, 길고 튼튼한 꼬리가 걷거나 뛸 때 균형을 유지시켰을 것으로 보인다.공룡은 계속 화석이 발견되고 있지만 아직도 체계적인 분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공룡은 골반의 모양에 따라 크게 두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