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무한정 증가하지도 않을뿐더러 크기도 더 작아질 수 없다는 것이다. 당시 2005년이 지나면
기존
의 기술로는 더 이상 플래시메모리를 작게 만들기 힘들어질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왔다.그런데 이게 웬걸, 곧 플래시메모리는 무어의 법칙을 추격하더니 이내 앞질렀다. 삼성전자 이승백 반도체 ... ...
폭발물 탐지하는 신물질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존
폭발물 검색 장비보다 성능이 30배나 뛰어난 신물질이 개발됐다.미국 MIT 티모시 스웨거 교수팀은 TNT 같은 폭발물을 탐지하는데 뛰어난 성능을 가진 물질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고 4월 14일자 ‘네이처’에 발표했다.이 물질에 자외선을 쬐면 안에 들어 있는 전자가 들떠서 빛을 낸다. 그러나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2004년 5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연구결과는 이런 의심을 반박하면서 기억재강화가
기존
의 기억강화 현상과 차별적인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처음 학습의 기억강화에는 관여하지 않던 Zif268이라는 유전자가 기억재강화만 특이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기억강화에 관여한다고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입체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점 대신 면으로 구조 진단
기존
에도 이런 방법은 있었다. 지난 1990년대까지 드물지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이용해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한 논문이 발표되곤 했다. 하지만 당시 이들이 사용한 것은 엄밀히 말해 ‘점’들의 보로노이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염을 토했다.FCX 역시 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9년 9월 처음 선보인 연료전지차다.
기존
차량처럼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에서 생긴 전기로 달린다.문제는 일반 연료전지차는 추운지방에선 화학반응으로 발생한 물이 얼어붙어 무용지물이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 ...
1 기억도 부익부 빈익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새로운 정보가 들어왔을 때 관련 있는
기존
지식과 묶어 좀더 큰 기억단위를 만든다.
기존
지식과 연결되지 못하면 고립된 채로 작은 기억단위가 되거나 잊혀지기 쉽다. 결국 많이 아는 사람이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데 유리하다. 기억은 ‘부익부 빈익빈 ’인 셈.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으라는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세계 수학을 이끌어 가는 것도 아니다. 김용운 교수는 “인도에서 IT산업이 강한 것은
기존
인프라 없이도 할 수 있는 사업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미국이나 유럽에서 자녀를 길러 본 사람들은 이들 나라에서 19단은커녕 구구단조차 잘 외지 않는 것을 보고 깜짝 놀라곤 한다. 운율상 구구단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에이’는 치매 등 뇌질환에서 기억유지를 방해하는 효소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
약물인 도네파질이나 타크린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역시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사용되던 민간약에서 추출한 것으로 현재 미국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이 진행 중이다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이다. 특히 사출성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플라스틱자전거는
기존
자전거와 달리 부수적인 수작업이 필요 없었기 때문에 대량 생산으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런데 예상과 달리 1982년에 이미 자전거 시장은 완전히 포화상태가 됐고, 자전거 인구도 1970년대의 절반 ... ...
가상공간에 세운 디자이너의 작업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기억에 남을 명곡으로 승화된다.하지만 최근 디자인은 상품을 단지 예쁘게 포장하던
기존
역할을 넘어서고 있다. 기술력을 상징하는 하나의 코드로 자리잡기 시작한 것. ‘디자인=기술’이라는 등식은 이제 하나의 상식이 됐다.KAIST 산업디자인학과 남택진 교수는 “최근 디자인의 주요 키워드는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