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배반) 나도 다음번에 도움을 주지 않는 거예요. 그래서 팃포탯 전략을 쉽게 풀이하면 ‘
눈
에는
눈
, 이에는 이’라고 할 수 있어요.이 전략은 다른 어떤 전략보다 협동을 이끌어내는 데 좋아요. 그 이유는 처벌과 관계 회복이라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에요. 상대방이 배반을 하면 나도 그 다음에 ... ...
멍멍! 스케치북은 살아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그림을 그릴 생각을 하셨나요?제가 기르는 개, ‘카티쉬카’는 따뜻한 마음과 진실된
눈
으로 항상 제 곁에 있어줘요. 카티쉬카를 보고 있으면 그 모습을 그림 속에 남기고 싶은 기분이 들지요. 그럴 때 연필을 들면 좋은 작품이 나온답니다.Q 가장 좋아하는 작품은 무엇인가요?제가 그리는 개들은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진귀한 야간 딱정벌레들이 서식하고 있거든요.장이권 교수님은 “낮에 활동하는 곤충은
눈
이 잘 발달돼 있지만, 야행성 곤충은 시각 대신 후각이나 촉각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며, “야행성 곤충은 빛의 밝기에도 민감해 빛을 보면 모이거나 아예 행동을 멈추고 가만히 있는다”고 설명했어요.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를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어요. fMRI는 뇌 속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눈
으로 볼 수 있는 기계예요. 연구팀은 fMRI 장치 안에 있는 개에게 물건이나 사람, 다른 개의 사진과 동영상을 보여 주면서 뇌의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에 참여한 개 8마리 중에서 6마리가 화면을 30초 이상 ... ...
나보다 남이 먼저! 동물의 이타행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정찰병 역할을 하려면 몸을 드러낸 채 꼿꼿이 서서 경고음을 내기 때문에 포식자의
눈
에 쉽게 띄어요. 그뿐만 아니라 주위의 동료들이 모두 피신할 때까지 경고음을 내야 해서 종종 포식자에게 가장 먼저 잡아먹히기도 하지요. 따라서 정찰병 땅다람쥐는 이타행동을 하는 거예요.하지만 모든 ... ...
과학의
눈
으로 본 작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KBSI 과학이미징사진공모전’의 수상작이 발표됐어요. 이 공모전은 과학 장비를 이용해 맨
눈
으로 볼 수 없는 모습을 사진으로 찍어 출품하는 대회예요. 아주 작은 물체나 생물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촬영하기 위해 현미경을 비롯한 다양한 장비가 사용되지요.이번 공모전에는 총 77점의 작품이 응모돼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바로 ‘레이저’라고 부르는 빛이지요.빛은 아주 다양한 파장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눈
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은 380~800nm, 열에너지를 담고 있는 적외선은 800~2500nm와 같은 식이지요. 즉 우리가 보는 빛은 다양한 파장의 빛이 뒤섞여서 만들어진 결과인 거예요.레이저는 그중 단 하나의 파장만으로 ... ...
헤어 디자이너 ‘ 자르고 보크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문제를 해결하면서 헤어스타일을 완성했어요. 어때요? 맘에 드세용? 그리고
눈
치를 채셨겠지만 지금부터 미용실 MT예요. 함께 즐겨 주실 거죵?”그러고 보니 사건을 해결하는 사이 썰렁홈즈의 머리 손질은 이미 끝나 있었다. 완전 요상한 모양으로! 흑…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건
눈
에 사는 기생충인데, 주로
눈
이 큰 사슴이나
눈
이 큰 개 등에서 살지요. 아마 제
눈
이 작아서 제 몸에선 안 자랐나 봐요.Q 에는 기생충들과 대화할 수 있는 기생충 테마파크 ‘파라지파크’가 나와요. 파라지파크를 실제로 만들 생각이 있으신가요?기술이 ... ...
어린이
눈
높이에서 수돗물이 콸콸!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 대통령상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6호
‘제37회 전국학생과학발명품경진대회’에서 세종 두루고 1학년 신동규 군이 ‘아이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수돗물 배출 방향 조절 장치’로 대통령상을 받았어요. 신 군은 어린 조카가 키가 작아 세면대에 닿지 않는 것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해요.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의 각도를 바꾸면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