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문진으로 기관을 관찰하거나 CT 촬영으로 폐포를 관찰하는 수준이다. 프랙탈을 활용하면 모든 단계에서 폐를 정밀히 진단할 수 있다.세기관지 : 지름이 1mm 이하인 작은 기관지.세포수많은 세포가 모여 하나의 조직을 이루는 모습이나 세포분열에서도 프랙탈을 볼 수 있다. 특히 암세포는 주변에 ... ...
- [Knowledge] 해밀턴의 이론은 진사회성 곤충에만 적용되는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단수체 아빠로부터 물려받아(50%) 남동생과 공유할 가능성은 0이다. 단수이배성에게 모든 수컷은 아빠가 없으니 말이다. 이 유전자를 이배체 엄마로부터 물려받아(50%) 남동생과 공유할 가능성은 50%다. 따라서 근연도는 (0.5×0)+(0.5×0.5)=0.25다.즉, 여동생에 대한 높은 근연도 0.75는 남동생에 대한 낮은 ... ...
- [Tech & Fun] 중소기업 연구의 해결사 슈퍼컴, 최적의 설계를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사이에 입소문이 나면서, KISTI의 M&S 지원을 받고자 하는 수요는 갈수록 늘고 있다. 하지만 모든 기업을 지원할 수는 없다. 그래서 KISTI 가상설계센터는 원하는 기업들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M&S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기존 M&S 소프트웨어는 가격이 1억 원에 달해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은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가하면, 스타워즈 캐릭터들로 가득한 방도 있습니다. 디즈니 리서치 연구원들에게는 모든 디즈니 상품이 30~40% 할인되고, 전세계 디즈니월드 입장이 무료입니다(부럽).디즈니는 전략적으로 과학기술로 유명한 대학 인근에 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대학에서 유능한 학생들을 끌어오기가 쉽고,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킵 손 교수가 ‘블랙홀과 시간여행’이란 책을 냈다. 800쪽이 넘는다. 블랙홀에 몰두한 모든 과학자를 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블랙홀 과학사를 관통하면서도 중요한 개념과 논쟁을 충실하게 담아냈다.쉽지 않지만, 분명 사랑스러운 책이다. 저자의 블랙홀에 대한 애정이 담뿍 담겼다. 1962년 ...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아무리 전문가들이라고 해도 모든 생물종을 확인할 순 없는 법~!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 땅의 넓이와 기후 등을 고려해 생물 종의 수를 계산해 본 결과, 약 10만 종 정도의 생물이 살고 있을 거라고 추정하고 있답니다.그 중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덴마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길을 가기로 합니다. 덴마크 정부는 특별한 정치가만 살아남는 ‘생존’이 아닌, 모든 사람들이 함께 잘 사는 ‘공존’을 추구하는 정치 체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이 정신을 바탕으로 덴마크는 세계 최고의 복지시스템을 가진 나라로 성장합니다. 이러한 덴마크의 복지 체계가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바치는 여러 물건을 수북하게 쌓은 모양을 본뜬 글자예요. 이 뜻이 골(骨)자와 만나, 모든 것을 갖추고 있는 몸을 의미하는 글자가 됐답니다.나침반은 ‘벌일 나(羅)’, ‘바늘 침(針)’, ‘소반 반(盤)’으로 이루어진 말로, 방위를 알려 주는 도구를 뜻해요. 옛날 중국에서는 큰 쟁반 위에 물을 붓고, ...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n등분(n은 임의의 자연수)하여 각 면을 n2개의 정삼각형으로 나눈 뒤, 이 도형을 부풀려 모든 꼭짓점이 도형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오도록 만든 다면체다. 이것을 ‘n단계 지오데식 구면’이라 한다.정이십면체는 한 꼭짓점에서 5개의 정삼각형이 만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2단계 이상의 ...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한국인 표준 유전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보다. 생김새와 체질, 재능,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 등 생존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모든 유전적인 정보가 30억 개가 넘는 염기쌍 배열 안에 들어 있다.서정선 교수팀은 염기서열을 기존보다 100배나 빨리 읽는 독자적인 방법으로, 이전에 밝혀지지않았던 곳까지 찾아냈다. 가장 의미 있는 사실은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