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항공 금속 전자 화공 통신 소재 등 각분야의 기술
발달
에 크게 기여할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것이다. 로켓 개발에는 크게 네가지 분야의 기술이 필요하다. 우선은 로켓의 껍데기라 할 수 있는 구조동체 기술이다. 가벼우면서도 강한 소재를 개발해야 하는데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조기형인 경우 Sa나 SBa로 구분하고 만기형으로 갈수록 핵이 작아지고 나선팔이 아주 잘
발달
돼 있다. 일반적으로 조기형 나선은하의 색지수는 약간 붉게(B-V 값이 0.6~0.7정도)나타나지만 만기형의 경우 푸르게 냐타난다(B-V 값이 0.3~0.4정도이다). 그리고 나선팔에는 H II지역 (수소가 이온화된 곳으로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것 같다.결론을 대신해 우리나라에서의 천문학을 간략하게 살펴 보자. 최근 사회 전반의
발달
정도에 비하면 천문학에 대한 투자가 극히 적다는 것은 틀린 애기가 아닐 것이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산하 천문대에 14m 전파망원경이 있고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중이며, 대학에서 보유하는 40~60cm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을 측정함으로써 빙하기의 실체와 접근해가고 있다.육지와는 달리 빙(氷)퇴석층이
발달
되지 않은 해저퇴적층을 대상으로 한 빙하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해저퇴적층에서 발견되는 화석군의 변화와 산소동위원소의 측정이 빙기에 일어난 일들을 알아내는데 중요한 열쇠가 되고 있는 것이다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특허를 받으면 독자적 상권을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전자 조작기법의
발달
로 인해서 새로운 단백질을 추출하는 것보다 새로운 유전자를 찾는 일이 훨씬 쉬워졌다.생물체의 모든 유전정보가 들어있는 게놈 DNA에는 수천 수만가지의 단백질을 합성하는 정보(염기서열)가 들어 있다. DNA의 ... ...
냉장고의 열과학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뒷받침 되었기 때문일 뿐만 아니라, 그 온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감시하는 센서가
발달
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그러나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성은 무엇보다도 이용자의 이용방법에 가장 크게 좌우된다. 아무리 효율좋게 설계된 냉장고라도, 몇 초 동안 열린 문으로 밀려들어온 열을 다시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었으나 아직까지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있는 것으로 보아 한국의 제철기술은 고도로
발달
돼 있었다는 추측이 가능하다.달천 철광의 지표원소, 비소현대의 제철법이 정착되기 전 우리의 조상들이 철을 제련했던 과정을 달천광산 지역을 추적해보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달천광산에서 원광을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개수 목구멍 벽이 정상인보다 두껍다.또 '무턱'이라고 불리는 하악골이 거의
발달
하지 않은 사람도 코를 잘 곤다. 혀가 비정상적으로 크거나(혀가 안으로 밀리면서 기도가 좁아진다) 콧속을 가로 지르는 중격이 휘어진 사람도 코를 잘 곤다.심장에 큰 부담 안겨잠자는 자세, 피로 과음 약물복용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성간물질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1950년대 이후 전파천문학의
발달
과 더불어 시작되었다. 전파천문학은 우주로부터 오는 전파를 TV방송국에서 볼 수 있는 접시모양의 안테나와 비슷한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관측연구하는 학문이다. (사진3)은 미국 국립전파천문대에 있는 총 2 ... ...
과학자 264명 UN 환경개발회의에 반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근본적인 질문을 수면위에 다시 띄워올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에서 환경운동이
발달
해온 지난 수십년간 과학자들은 현대과학기술이 환경파괴의 주범만은 아니며 보존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다고 주장해 왔고 실제로 새로운 돈벌이로 떠오른 환경기술개발에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러나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