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고"(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한반도 고래 혼획 보고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1971년 발굴된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는 무려 63종의 고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신승동국여지승람과 같은 고서에도 울산 앞바다는 경해(鯨海), 즉 ‘고래바다’로 표기돼 있다. 예부터 우리나라 바다가 고래가 많기로 유명했다는 뜻이다. 그런 한국이 요즘은 ‘고래무덤’으로 불리고 있다. 고래 불법 ... ...
- [Knowledge] 야생동물 천국에서 낯선 기생충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생물자원의 보고 탄자니아우리나라에서 직선거리로 따져도 1만 km가 넘고, 비행기로 가면 카타르를 잠시 경유해 15시간이 걸리는 이곳 탄자니아에서 한국 과학자를 만날 수 있었던 것은 타위리에 있는 ‘연구소재은행(TWRRU)’ 덕분이다. 연구소재은행은 국내 연구소재중앙센터(KNRRC)가 탄자니아의 ... ...
- Part2. 거짓말 잘하는 사람이 살아남았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계곡 건너편을 바라보는 것이다. 포식자가 다가오고 있다는 암시다. 어린 비비의 행동을 보고 놀란 어른 비비들은 주의가 흐트러져 싸움을 멈춘다. 사실 포식자는 없었지만.이렇게 주의를 흐트러뜨리는 거짓 행동은 모든 영장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괴롭히기, 가장하기, 숨기기 전략도 있었다.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과고드립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일으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누군가 EXID드립을 보고 ‘파울리의 배타원리’가 뭔지 궁금해서 찾아본다면 그것도 나름 의미 있는 일 아닐까요?” 드립 |애드리브의 준말. 온라인에서 어처구니없는 발언을 보통 ‘드립’이라고 표현. 너드 |지능이 ... ...
- 色시한 과학 色시한 라이프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여자 친구가 예뻐 보이는 조명, 쉬기 좋은 조명, 음식 맛을 돋우는 조명이 있으니 사진을 보고 한번 맞춰보세요.정말로 잘 찾아오셨습니다. 色시한 상담소는 색각 이상자들의 편입니다. 다른 사람은 여러분이 얼마나 힘든지 잘 모릅니다. 그래서 수도권 지하철 노선도를 준비했습니다. 보통 사람은 ...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내일이라도 사고가 터질 수 있는 것 아니냐고 맞섰다. 계속운전 심사는 이날도 결론을 못 보고 2월 26일로 미뤄졌다. 이정윤 대표는 원안위에 ‘공개토론’을 제안했지만 아직 답을 듣지 못하고 있다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대신 지구와 외계항성 사이에 외계행성이 들어오면 그림자가 져서 항성이 어두워지는 걸 보고 간접적으로 찾는 것이다.“멀리 떨어진 항성을 카메라로 찍을 때는 ‘밝기’와 ‘크기’가 비례합니다. 행성이 일정한 주기로 항성을 공전하면서 그림자를 만드니까, 항성의 크기도 커졌다 작아졌다를 ... ...
- [Life & Tech] 저 하얀 설원 위에~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듭니다. 양털은 공기를 품는다“미안, 나는 자기랑 빨리 푸른 초원이랑 하얀 양을 보고 싶어서…(찌릿) 하지만 다 자기를 위해서!(찌릿)그런 거란 말이야, 구시렁구시렁.” 소녀는 눈을 흘기지만 다 알고 있습니다, 그 따뜻한 마음을. 게다가 올해는 양의 해인걸요! 소녀는 소년의 서툰 솜씨를 ... ...
- [Knowledge]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물리학에 완벽한 종지부를 찍은 사람은 바로 뉴턴이다.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뉴턴의 머릿속에 번쩍 떠오른 생각은 ‘사과가 지구로 떨어지듯 달도 지구를 향해 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닐까’였으리라. 아니, 달이 떨어진다고? 말도 안 되는 얘기 같지만 ‘관성’을 떠올려보면 정말 흥미로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그쪽 분야를 연구하고 있지만요. 만약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다른 학과 수업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학부 수업이 아니고는 그렇게 잘 짜인 수업을 받을 기회도, 시간도 없습니다. 저는 통계학 수업을 듣지 않아서 대학원 때 무척 힘들었어요. 혼자 공부하느라 몇 배나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