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유는 층마다 다른 재료를 겹쳐서 3D 물건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천과 천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 전도체를 한 겹 끼워 넣는다면 전선 없이 장난감 내부에 전기를 흘릴 수 있는 거죠. 내년쯤엔 이 기술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만들어 팔아봐야겠어요.우리 어린이들 색칠 공부책 좋아하죠? 하긴 ... ...
- 싸우고 화해하고… ‘양은 냄비’ 커플이 잘 깨진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변화 그래프에 표시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한 달에 한 번씩 이들 커플을 면담해서 둘 사이의 관계를 평가했다.조사 결과 이들 커플은 총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급격히 친밀해졌다가 나빠지기를 반복하는 ‘극적인 커플(34%)’과 서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상대방 중심 커플(30%)’,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유는 접합의 수 Ν을 마음대로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개의 거대 샤피로 계단 사이의 차이를 구하면 그 값은 2e/ Νħω가 된다. 교류 전류의 각진동수 ω는 아주 정확히 잴 수 있으므로, Ν을 충분히 크게 해서 전위차를 재면 물리학의 근본적인 두 가지 상수의 비 e/h를 놀라울 정도로 정확히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해는 2015, 2020, 2026, 2032, 2037, 2043, 2048, 2054, 2060, …이다. 이 연도는 실제 계절과 날짜 사이의 오차가 가장 적도록 식을 세워 계산한 결과다.음력은 영원불변할 수 있을까대안 달력의 가장 큰 장점은 날짜와 요일이 고정돼 상당한 계산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이다. 다양한 금융 상품의 이자 계산도 ... ...
- 불심에 담긴 수학을 찾아 황금의 땅 미얀마로수학동아 l2015년 12호
- 힘든 이야기지만 실제로 얇은 대나무를 가지고 바위의 밑을 훑으면 대나무가 그 두 돌 사이를 통과한다고 합니다. 또한 미얀마에서는 그 동안 수 차례의 크고 작은 지진이 일어났었지만 저 바위만큼은 떨어지지 않았다고 해요. 보지 않았다면 말도 안 된다고 생각했겠지만, 보고 나니 믿을 수밖에 ... ...
- 세계의 지붕이 흔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해야 해요. 기둥을 잇는 부분을 더 단단하게 만들거나, 세로로 서 있는 기둥 사이에 대각선으로 한 번 더 기둥을 덧대는 등 골격 구조를 튼튼하게 만드는 거지요. 이렇게 내진 설계가 된 건물은 규모가 7이나 되는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고 버틴답니다. 그리고 작은 건물은 큰 건물에 비해 건물 전체 ... ...
- [생활] 작가의 꿈이 현실로! 이야기 만드는 소프트웨어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성격, 자라온 환경 등을 적는다. SF인지 추리인지 등 글의 장르를 고르고, 등장인물 사이의 갈등과 결말을 적는다. 그러면 앞으로 이야기가 어떻게 펼쳐질지 예측해 주는 것이다. 작가는 이를 보고 내용이 너무 뻔하거나 처음 의도와 다르면 글의 내용을 수정한다. 이야기가 재미있다면 여기에 살을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전에 아웃되는 것을 포스아웃이라 한다.]야구 속 ‘게임이론’수비수가 1루와 2루 사이에 몰려 있다면, 왜 수비수가 한 명밖에 없는 3루 쪽으로 밀어치지 않는 것일까? 아니면 번트를 댈 생각은 하지 않았는지 의문이 든다.보스턴 레드삭스의 좌타자 데이비드 오티즈는 극단적으로 당겨 치는 타자로 ... ...
- 깨진 원형 유물, 어떻게 복원할까?수학동아 l2015년 11호
- 크기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원형 유물 복원에 앞서 원의 중심과 현의 수직이등분선사이의 관계에 대해 알아 보자. 왼쪽 그림에서 보듯이 원의중심(O)에서 현에 내린 수선(h)은 그 현을 이등분한다. 또한 현의 수직이등분선 OM은 원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 그림은 신라 시대의 유물인 ... ...
- 우리 가족은 식물학자! 국립수목원 귀화식물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제거해도 다시 줄기가 솟아오르고 씨앗이 퍼질 수 있으니까요. 다 파낸 식물을 신문지 사이에 넣고,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지와 번갈아 깔아 꾹 눌러 두면 식물이 곱게 말라요. 다 마른 식물을 단단한 종이에 잘 펴서 붙인 뒤, 학명과 채집자의 이름을 쓰면 표본 완성!대원들은 줄기에서 즙이 나오는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