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용
이용
사용
실시
시행
활용
집행
d라이브러리
"
적용
"(으)로 총 4,25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소자의 크기가 20-30nm 정도가 되면 소자는 양자현상이 지배적으로 나타나게 돼 기존에
적용
했던 회로의 설계법칙을 따를 수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도 증폭돼 상업화에 무리가 따른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반도체 집적도 방식은 2010년이면 한계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나노기술은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표현그렇다면 디지털캠코더와 기존의 캠코더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기존 캠코더에
적용
된 아날로그 신호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파동 형태로 화면을 표현한다. 반면 디지털캠코더에서는 모든 화면을 표시할 때 0과 1이라는 디지털 신호가 사용된다.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갖는 ... ...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뚫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 로이렉스 삼각형을 만들었던 방법을 그대로 정사각형에
적용
시킨다. 그러면 오각형을 뚫을 수 있는 드릴의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정오각형 모양의 폭이 일정한 도형으로 드릴을 만들면 정육각형 모양의 구멍을 뚫을 수 있다.폭이 일정한 도형은 사각이나 오각 구멍을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통계방법을 동원한다. 또 미약한 신호도 놓치지 않고 측정하기 위해 정밀계측기술도
적용
되고 있다.혈액 속에는 헤모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있다. 적혈구 속에 있는 헤모글로빈은 산소와 결합해 동맥을 통해 산소를 온몸의 구석구석까지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동맥에서 헤모글로빈이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분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구체적으로 나노기술이 진단장비에 어떻게
적용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자. DNA칩은 DNA를 유리 표면과 같은 고형물에 심어 넣은 것으로 유전자를 빠른 시간 안에 검색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MEMS 기술을 이용한 DNA칩에 유전자의 반응을 확인하기 ... ...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인공생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던졌다. 정보의 꼭두각시를 넘어그렇다면 인공생명은 로봇이나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에
적용
되고 있는 인공지능과는 어떻게 다를까. ‘아쿠아리움’(aquarium)이라는 컴퓨터 스크린 세이버를 통해 알아보자. 아쿠아리움은 각양각색의 물고기들이 떼지어 살고 있는 가상의 수족관이다. 그러나 수족관 ... ...
1. 스스로 진화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인기를 얻고 있는 ‘스타크래프트’나 ‘리니지’ 같은 온라인 게임에 진화 알고리즘이
적용
될 전망이다. 온라인 게임의 매력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며 예측불허의 상황에 적당한 전략을 수립하는 재미일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으로는 아무리 복잡한 상황을 만들더라도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미세문자가 1줄당 14개씩 2줄로 28개가 들어 있다. 요판잠상은 요판인쇄기술을
적용
한 것이지만 금속 인쇄판 제작시 선의 폭과 각도, 심도 등을 정밀하게 조정해 특정하게 보는 각도에서만 문양이나 문자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1만원권 앞면 오른쪽에는 세로로 숫자 ‘10000’이 숨겨져 있는데, 이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것이다. 생물과 무생물에 전혀 다른 법칙을
적용
할까, 아니면 동일한 우주적인 원리를
적용
할까. 다른 재료를 사용할까, 아니면 같은 재료를 사용할까. 다른 종류의 생명체를 따로따로 만들까, 아니면 간단한 생명체를 먼저 만들고 그로부터 발전적인 원리를 도입해 자연의 기획원리를 파악할 지능을 ... ...
축구선수 시력 얼마나 뛰어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크다면, 이 말은 절대 틀린 말은 아니다.아주 빠르게 움직이는 작은 공에도 이 원리가
적용
될 수 있을까. 최소한 한 연구에 의하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빠르게 움직이는 공을 쳐다보는 상황에서는 눈동자가 공을 쫓아가지 못한 채 빠르게 움직인다고 한다. 이를 전문용어로는 눈의 단속성 운동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