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당정동에 있는 작은 모래섬이다. 1995년 사라지기 전에는 동서로 2.3km, 남북으로 1.25km 크기였지만 다시 만들어진 현재는 이보다 더 작다. 인간의 욕심 때문에 섬이 사라질 정도로 모래를 파냈지만 강물은 여전히 모래를 옮겨왔고, 결국 사라진 섬을 다시 만들어냈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뒤부터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척추에 연결된 갈비뼈가 한껏 벌어져 먹이가 긴 몸을 지나가는 데 무리가 없다.먹이 크기에 맞춰 위 또한 거대하게 늘어난다. 뱀은 가늘고 긴 몸에 맞게 대부분의 내장이나 기관은 길고 가늘게 생겼지만 소화와 관련된 위와 장은 신축성이 매우 좋다. 일단 커다란 먹이를 삼키면 오랫동안 다른 먹이를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필자도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마이크로 RNA는 크기가 핵산이 22개 정도 되는 작은 RNA로, 1993년에 꼬마선충에서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하다 1998년 RNA가 강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유도한다는 ‘RNA 간섭(RNAi)’ 현상이 밝혀진 후 재조명됐다. ...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죽일 수 있다. 주로 독을 분비하는 개구리는 손바닥만 한 큰 개구리가 아니라 엄지손톱의 크기 정도로 작다. 왜 이런 작은 개구리가 살벌한 독을 분비하게 됐을까? 이유는 개구리의 포식자인 뱀 때문이다. 처음에 개구리는 약간의 독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 뱀이 개구리를 먹고도 멀쩡하게 살아남자,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밀도가 아주 높은 빛을 모을 수 있으면,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한 번에 많은 빛을 보내 통신 속도나 전송량을 모두 높일 수 있답니다. 또 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춰서 ... ...
- 달려라 달려! 2013 런닝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친구들 반가워요! 사람들은 미인의 조건으로 큰 눈을 꼽는다던데 제 눈 크기 정도면 세계 최고로 예쁜 뱀이라고 해도 되겠죠? 제 이름은 ‘이만토데스 초코엔시스’예요. 에콰도르 북서쪽에 있는 초코 열대우림 지역에서 처음 등장했지요. 작은 얼굴에 날씬한 몸, 왕방울만한 큰 눈이 돋보이는 얼짱 ... ...
- [화보] 북극이 위험하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실제로 북극에서는 연간 약 7만km2의 얼음이 사라라지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얼음이 크기뿐만 아니라 두께도 눈에 띄게 얇아졌다는 점이다. 이에 과학자들은 녹아내리는 얼음의 속도를 예측하기 위해 방정식을 세웠다.미국의 캠브리지대 해양물리학과 피터 와드햄스 교수는 북극의 얼음이 ...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1호
- 회전하게 된다.)여기서 중력과 식탁의 평균 높이는 떨어지는 시간을 결정하고, 토스트의 크기와 초기 위치에서 떨어지는 각도는 토스트의 회전운동을 결정한다. 이때, 토스트가 회전해 잼 바른 쪽이 바닥에 닿을지, 위를 향할지는 토스트를 회전시키는 힘에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그 힘은 중력과도 ... ...
-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 때문이다.헬륨 결정은 무중력상태에서 불과 10초 만에, 지상에서는 1초 만에 최대 결정크기로 자란다. 다카하시 교수는 “헬륨의 ‘초유동성’이 헬륨 원자를 결정이 자라는 데 필요한 곳으로 순식간에 옮겨주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초유동성이란 액체헬륨이 극저온 상태에서 ... ...
- ① 조규진 기계항공공학부 교수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의 방향이 달라지면서 다리가 쫙 펼쳐지죠. 이 원리를 로봇에 적용했어요. 그랬더니 로봇 크기의 30배 높이까지 뛰었죠. 이렇게 만드는 데 3년 정도 걸렸어요.융합이 많이 필요한 분야는 재밌긴 하지만 힘들죠. 그냥 섞는다고 융합이 되는 건 아니에요. 자기 나름의 강점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것을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