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지표면에서 일정한 지층에 이르기까지 호박돌로 이뤄져 있다. 호박돌은 지름이 20~30cm 크기로 화강암이나 변성암 등 경도가 높은 암석이 개울이나 하천에 의해 깎여진 잡석을 말한다. 조약돌보다는 커서 예로부터 기둥이나 처마를 받치는 데나 바닥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쓰인다.마을에 정착하기로 한 ... ...
- 산소 먹고 달리는 자동차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쓰던 리튬 전지보다 한 번에 충전할 수 있는 에너지양은 다섯 배, 힘의 세기는 두 배나 크기 때문에 성능이 무척 뛰어나답니다. 또 전지를 10분 만에 교환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 시간도 줄어들었어요. 마그네슘 가격이 휘발유보다 세 배나 높아서 아직은 상용화하기 어렵지만, 다쓴 마그네슘을 ...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1호
-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1밖에 안 되는 아주 작은 크기지요. 이런 작은 공간에 밀도가 아주 높은 빛을 모을 수 있으면, 광통신 케이블을 통해 한 번에 많은 빛을 보내 통신 속도나 전송량을 모두 높일 수 있답니다. 또 현미경의 해상도를 분자 수준으로 낮춰서 ...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죽일 수 있다. 주로 독을 분비하는 개구리는 손바닥만 한 큰 개구리가 아니라 엄지손톱의 크기 정도로 작다. 왜 이런 작은 개구리가 살벌한 독을 분비하게 됐을까? 이유는 개구리의 포식자인 뱀 때문이다. 처음에 개구리는 약간의 독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 뱀이 개구리를 먹고도 멀쩡하게 살아남자, ...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만 종 이상의 세균과 고세균을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토양 곰팡이까지 더하면 ‘숟가락 크기 생태계’의 생물 종 다양성은 훨씬 커진다.그런데 우리가 100년 이상 탐사해 알고 있는 전체 세균의 종류가 1만 종밖에 안 되며, 관악산 흙 한줌에 사는 세균 중 우리가 알아볼 수 있는 종은 5%에 불과하다. ... ...
-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 때문이다.헬륨 결정은 무중력상태에서 불과 10초 만에, 지상에서는 1초 만에 최대 결정크기로 자란다. 다카하시 교수는 “헬륨의 ‘초유동성’이 헬륨 원자를 결정이 자라는 데 필요한 곳으로 순식간에 옮겨주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초유동성이란 액체헬륨이 극저온 상태에서 ...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포토닉스’에 발표했다.보통 볼록렌즈를 이용해 빛을 꽤 작은 크기의 점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그렇지만 빛의 파장보다 작다면 빛이 돌아가는 회절현상 때문에 한 점에 모으기 쉽지 않다. 광학현미경으로 2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보다 작은 물체를 구분하기 힘든 것도 이 ... ...
- 다리없는 뱀이 강하다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척추에 연결된 갈비뼈가 한껏 벌어져 먹이가 긴 몸을 지나가는 데 무리가 없다.먹이 크기에 맞춰 위 또한 거대하게 늘어난다. 뱀은 가늘고 긴 몸에 맞게 대부분의 내장이나 기관은 길고 가늘게 생겼지만 소화와 관련된 위와 장은 신축성이 매우 좋다. 일단 커다란 먹이를 삼키면 오랫동안 다른 먹이를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가장 큰 관심을 끈 것은 필자도 연구하고 있는 ‘마이크로 RNA(microRNA)’다.마이크로 RNA는 크기가 핵산이 22개 정도 되는 작은 RNA로, 1993년에 꼬마선충에서 처음 발견됐다. 당시에는 큰 관심을 끌지 못하다 1998년 RNA가 강한 유전자 억제현상을 유도한다는 ‘RNA 간섭(RNAi)’ 현상이 밝혀진 후 재조명됐다. ... ...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당정동에 있는 작은 모래섬이다. 1995년 사라지기 전에는 동서로 2.3km, 남북으로 1.25km 크기였지만 다시 만들어진 현재는 이보다 더 작다. 인간의 욕심 때문에 섬이 사라질 정도로 모래를 파냈지만 강물은 여전히 모래를 옮겨왔고, 결국 사라진 섬을 다시 만들어냈다.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은 뒤부터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