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스페셜
"
우리
"(으)로 총 3,19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환경산업
KOITA
l
2013.08.08
발전을 거듭하는 동안 무관심 속에서 사양길을 걸어왔다. 그러나 지구의 생태계는
우리
에게 다시 생명 산업, 1차 산업의 중요성을 깨우쳐주고 있다. 미래의 경제(Economy) 발전은 생태계(Ecosystem)의 지속가능성과 함께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대 전환기에 뒤처지지 않고 앞서 ... ...
4D 영화, 오감으로 즐길 수 있는 비결!
KISTI
l
2013.08.06
작업이 끝난 후 영화가 재생되면 미디어서버에서 시간에 따라 정해진 정보를 분석해
우리
가 느낄 수 있는 체감 장치에 통신으로 명령을 내린다. 현재는 4D에 총 쏘기 게임 등을 추가하거나, 놀이동산 열차에 4D와 활쏘기를 추가해 더 많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한 편의 체험형 영화가 ... ...
[채널A] 英 기자 “북한보다 뒤지는 한가지는…” 한국 맥주 왜 맛 없나
채널A
l
2013.08.06
[앵커멘트] 공산품 중에
우리
가 북한보다 못한 게 있다, 떠오르는 게 있으십니까? 영국 기자가 남북한의 맥주 맛을 다 보고 기사까지 써서 북한 맥주의 손을 들어줬습니다. 한국 맥주, 무엇이 문제일까요? 이영혜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연하고 부드럽고 향긋한 맛으로! 평양에서 인기가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진행할 계획이라고 한다. 시장에 나와 있는 수많은 항균제품을 보면 지금도 여전히
우리
주변에서 미생물을 완전히 없애버리는 게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길이라고 믿는 사고방식이 주류인 것 같다. 그러나 이런 전략에 30억 년 역사를 갖는 박테리아가 항복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인체는 ... ...
미래 통신산업
KOITA
l
2013.08.02
이와 유사한 접근방식이 여러 곳에서 시도되고 있다. 아프가니스탄의 잘라라바드씨는
우리
주변에서 버려지는 다양한 폐품을 활용해서 오픈소스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했다. ‘저비용 저파워 셀룰러 데이터 네트워크 기술’로 명명된 이 기술은 커티스 하이멀(Kurtis Heimerl) 버클리 대학교 교수가 좀 ... ...
이제 방제도 친환경! 산림해충 잡는 ‘페로몬’
KISTI
l
2013.08.02
종 특이적이어서 산림해충의 종류에 따라 반응하는 페로몬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가 방제하고자 하는 해충이 반응하는 특정 페로몬을 이용하면 다른 곤충이나 동물이 피해를 입을 걱정이 없다. 또한 자연계에 이미 존재했던 물질이면서 아주 소량으로도 작용하기 때문에 환경에 미치는 ... ...
[채널A] 수심 6000m 압력도 ‘거뜬’…‘검은 노다지’ 로봇이 캔다
채널A
l
2013.08.02
잠수함도 찌그러진다고 하는데요. 이 심해에서 각종 작업을 할 수 있는 무인 로봇을
우리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이 로봇이 진작 나왔더라면 천안함의 비극도 줄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이현경 과학전문기잡니다. [리포트] 포항에서 동남쪽으로 130km 떨어진 해역. 무게 28t의 거대한 ... ...
미래 창조산업
KOITA
l
2013.07.31
역량을 결집한다면 선두주자로 올라설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창조산업을 통해 이제
우리
나라의 성장모델은 추격형이 아니라 선도형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수는 있어도 주기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는 말이다. 이번 결과에 따르면 달의 주기성도
우리
몸에 월주리듬이라는 흔적을 남겨놓았고 그 가운데 하나가 수면의 양과 질의 주기성으로 나타난다는 말이다. 그리고 이는 내재적인 리듬이기 때문에 설사 인공조명의 범람으로 달의 주기성이 동조자의 ... ...
과학, 상상의 날개를 달다! ‘2013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동아사이언스
l
2013.07.30
이번 축전을 통해 “창의성과 상상력이 발현될 수 있는 창의적 문화를 조성하고,
우리
아이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융합인재로 성장하여 창조경제의 동량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 위의 내용은 미래창조과학부의 보도자료입니다 ... ...
이전
295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