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반사
d라이브러리
"
반사망원경
"(으)로 총 387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의 냉동창고, 쿠이퍼대
과학동아
l
199607
태양계는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10번째 행성은 어디에 있을까. 그리고 혜성들은 어디서 날아오는 것일까. 이러한 비밀을 간직한 곳이 있다. 45억년 전 태양계 내에 행성들이 만들어지고 남은 잔재들이 모여있는 쿠이퍼대다. 동서양을 불문하고 예로부터 사람들은 하늘에 5개의 행성이 별자리 사 ... ...
육체적 고통 속에서 얻은 우주의 신비
과학동아
l
199606
추적했다. 여기서 진실된 창조는 육체적 고통을 통해 이뤄짐을 배웠다.한편 구경 1백cm의
반사망원경
으로 광전측광을 할 때는 1초의 여유도 없이 바쁜 연속관측으로 생리적 신진대사마저 참아내야 했다. 특히 밤이 긴 겨울철에 1주일 계속 관측하다 보면 피로가 쌓여 자다가 다리에 쥐가 나기 ... ...
햐쿠타케혜성이 남긴 이야기
과학동아
l
199605
지난 3-4월 많은 사람들을 흥분시켰던 햐쿠타케를 이제 더 이상 볼 수 없게 됐다. 태양 저편으로 사라져가는 햐쿠타케는 무엇을 남겼을까. 그 자취들을 더듬어본다.햐쿠타케는 예상했던 대로 거물급 혜성이었다. 아마추어 천문가들이 자주 찾는 충북 영동 산중턱에서 바라본 햐쿠타케의 꼬리는 20°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04
좋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러 천체 관측을 제대로 하게 되면
반사망원경
과 굴절망원경 모두가 필요하기 때문에 어느 것을 먼저 선택하느냐는 이용자의 선호에 따라 결정할 문제다.Ⅲ. 아름다운 밤하늘을 즐기자 달과 행성부터 시작망원경은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03
행성상성운, 크기를 드러낸 최초의 별, 우주 자외선 레이저, 30등급의 은하 등 허블우주망원경이 충격적인 우주의 신비를 보여주고 있다. 새롭게 발견되는 관측자료들이 지금까지의 천문학을 흔들고 있다. 화려하게 빛나는 별진화의 마지막 단계 별들은 각기 다른 빛깔을 띤다. 오리온자리의 베텔 ... ...
적외선에 미지 우주비밀 숨어있다
과학동아
l
199602
이 액체 헬륨과 그것을 담는 일종의 마법병이 차지하고 있다.이 액체헬륨이 하는 일은
반사망원경
과 관측기기를 절대온도 4도로 냉각해 적외선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다.ISO의 수명은 18개월. 헬륨이 증발해 없어지면 ISO의 수명도 끝나게 된다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02
일반상대성이론은 공상과학 속에서나 통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드넓은 우주 곳곳에는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해주는 현상들이 많다. 블랙홀 중력파 중력렌즈 등 그 예들을 찾아 나서보자.현대 과학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경향은 온 우주를 실험실화하려는 시도라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지구상에 ... ...
황소자리의 일곱 자매
과학동아
l
199512
황소자리 일곱 자매가 춤을 춘다. 구경꾼 히아데스, 플래시를 터뜨리는 초신성, 별들의 운동회가 열리는 겨울밤은 관측자에게도 더없이 즐거운 축제다.1609년 이탈리아 피렌체.싸그레도(망원경에 가까이 가기를 주저하면서) : 갈릴레이, 사실…저는 좀 두렵습니다.갈릴레이 : 자, 그럼 내가 은하수 ... ...
슈메이커-레비혜성 목성충돌시 3단계 광도변화
과학동아
l
199508
지난 5월 초순 미국 매릴랜드주 볼티모어에서는 국제 천문연맹 주최로 작년 7월 목성에 충돌했던 슈메이커-레비 혜성(SL9)에 관한 콜로키움이 개최됐다. 세계 곳곳에서 관측됐던 데이터들이 해석돼 이곳에서 발표됐다. 발표에 나선 천문학자들은 혜성조각(핵)들이 목성에 충돌했을 때 광도변화는 3단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08
우주환경은 거칠다. 인공위성 발사에서 궤도 진입, 그리고 정상가동까지 도처에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많은 사람들은 인공위성을 발사하면 당연히 원하는 곳에 가서 제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이는 그렇게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의외로 실패하는 사례가 많다. 굳이 1986년 7명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