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싹
맹아
싹눈
새순
아
움
소년
d라이브러리
"
싹
"(으)로 총 34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뿌린 씨앗은 개념적으로 매우 중요한 발견임에도 불구하고 60년대 초에 혼돈 이론의
싹
이 발아할 때까지 망각된 채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했다.프랑스 물리학자인 다비드 뤼엘은 그의 저서 '우연과 혼돈'(Chance and Chaos, 1991년)에서 그 이유를 두 가지로 분석했다. 한가지 이유는 양자역학의 출현이다.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03
있다. 땅 위의 부분이 추위나 사람들의 제초 작업으로 잘려죽더라도 뿌리는 봄에 새
싹
을 틔울 수 있다. 또한 이 식물은 하루에 1피트(약 30cm)씩 자라는 덩굴을 뻗어 어디에든 닿을 수 있다. 덩굴은 마디를 가지고 있고 각 마디에서 뿌리가 뻗어나와 새로운 개체가 된다. 씨가 무슨 필요가 있겠는가?칡은 ... ...
쌀, 아미로스 성분 적을수록 찰기 많다
과학동아
l
199401
있는 '오리 방사 기법'이 눈길을 끈다. 벼가 조금 자랐을 때 오리들을 방사하면 뒤늦게
싹
이 트는 잡초들만을 뜯어먹을 뿐 아니라 오리의 흙탕질과 배설물 등으로 질소와 영양공급이 원활해져 비료없이도 벼의 성장이 촉진된다는 것이다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10
지표면을 덮으면 큰나무의 종자가 떨어져도 땅에 도달되지 않고 조릿대더미에 얹혀
싹
이 틔지 않는다. 이 과정이 계속되면 다음 세대를 이어갈 나무들이 출현하지 않아 숲의 구조가 단순해지고 만다. 일본 북해도의 국립공원에서는 조릿대의 세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라니를 인위적으로 방사해 ... ...
개항 한세기─시대별로 본 한반도의 대표적 귀화식물들
과학동아
l
199308
미국 원산의 색다른 귀화식물이 있는데, 이를 달맞이꽃이라 부른다. 여름에 떨어진 씨가
싹
이 터서 마치 방석모양으로 사방에 퍼진 어린 식물체로 추운 겨울철을 지낸 다음 봄에 줄기를 벋으며 1m 이상 자라는데, 여름철이 되면 밤에 노란 꽃을 피운다. 그리고선 마치 참깨 비슷한 꼬투리가 맺혀 그 ... ...
'93 대전 엑스포
과학동아
l
199308
겨울'을 강렬하게 시사한다.쓰레기 더미가 서서히 걷히면서 곳곳에 봄을 알리는 푸른
싹
이 돋아나기 시작한다. 봄은 생산과 소비의 올바른 순환구조가 원래대로 회복된 새로운 문명을 상징한다. 꿈돌이가 민들레 씨앗을 담은 풍선을 타고 올라가면서 27만3천평의 박람회장은 레이저 영상이 만들어 ... ...
바람·물·곤충과 함께 펼치는 암술·수술의 화려한 결합
과학동아
l
199305
실과 같은 뿌리를 형성한다. 땅속줄기에서 바이올린 머리의 돌돌 말린 장식처럼 고사리
싹
이 자라나서 커다란 잎이 갈라져 더 작은 잎으로 된 복엽을 형성 한다. 잎의 모양은 다양하고 관다발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다. 양치식물의 포자체는 선태식물과는 달리 그 생활사 중에 뚜렷하게 우세해 많은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전자산업의 혁명을 몰고온 트랜지스터의 발명, 그리고 유전공학의
싹
을 틔운 DNA의 이중나선구조 발견과 맞먹는 중대한 계기가 필요한 것이 현재의 마이크로 머신 분야다. 과연 그러한 계기가 무엇이 될지 현재로선 추측하기 어렵다. 이제 막 첫 걸음을 내디뎠으며 아직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05
앉아 꽃을 피운다.동물의 발이나 곤충에 의해 전파되는 씨는 어떤 덩굴에 박힐 때 비로소
싹
을 틔우는데, 덩굴 속에 있는 기간이 1년내지 1년반이나 된다. 씨앗에 배꼽같은 자리가 생기면 밖으로 성장해 7~9개월만에 꽃을 피운다.한번 핀 꽃은 24시간도 채 싱싱하게 버티지 못한다. 꽃잎은 피어나면서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05
돌아오는 쪽. 그가 귀국했던 무렵만 해도 '유전공학'이란 학문은 척박한 토양에 겨우
싹
을 틔운 정도 였다.이같은 환경에서 그의 연구팀이 처음 매달린 것은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인슐린을 합성하는 기술. 이 프로젝트는 8년간의 연구 끝에 성공, 지난 93년 2월 종근당과 계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