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햇볕으로 물 끓이려면 뽁뽁이가 필수!과학동아 l201610
- 각 채널로 열을 빠르게 전달한다”며 “모세관현상으로 채널로 빨려 올라온 물은 100℃까지 가열돼 수증기로 바뀌었다”고 밝혔다. 계산 결과, 이 장치에 비친 태양에너지의 약 20%가 물을 수증기로 바꾸는 데 사용됐다.일반적으로 태양열로 물을 끓이려면 빛을 한 데로 모을 거울이나 렌즈가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10
- 지금까지 딱 한 번 성공했다. 1975년 중국 다롄 인근 도시 하이청에서 미소 지진이 포착돼 100만 명의 주민이 대피한 결과 규모 7.5의 강진을 피할 수 있었다. 그러나 김 교수는 “미소 지진을 포착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미소 지진 수가 갑자기 급증하는 신호를 찾아야 하는데,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10
- 것이 야간 촬영 시에 주로 사용하는 적외선이었다. 홍채에 파장이 750~850nm(나노미터, 1nm=100만 분의 1mm)인 근적외선 조명을 쏜 뒤, 근적외선을 필터링하지 않는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다(일반적인 카메라에는 적외선을 걸러내는 필터가 들어있다. 가시광선만을 완벽하게 잡아내기 위해서다). 별도의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10
- 수의적이면서도불수의적인 운동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doi.org/10.1177/0301006616647742). 뼈와 뼈에 붙어 있는 근육, 그리고 피부 사이에 특별한 구조도 표정을 만든다. 대부분의 근육은 뼈에 붙어 표정을 만들지만, 눈 주위나 입술 주위에 있는 근육처럼 뼈에 붙어 있지 않은 근육도 있다.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09
- 지구로 전송했다. 그 결과 이전에 밝혀지지 않았던 달의 용암 분출 흔적을 찾아내는 등 100여 편의 논문이 발표됐다.중국의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된 위투는 무게가 140kg으로, 시속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14년 2월 한때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과학동아 l201609
- 현장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우리 팀의 장점”이라며 “2020년까지 100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생각하는 다음 목표는 광합성 속도다. 미세조류가 식물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상용화에 이르기에는 아직 충분하지 못하다. 심 교수는 “더 ...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과학동아 l201609
- 운행이 시작된 이후 비판이 끊이지 않는다. 계속된 적자를 메우기 위해 지자체가 매년 100억~1000억 원씩 예산을 투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속도로도 마찬가지다. 2014년까지 전국 고속도로 28개 노선에서 건설투자비로 회수한 비율은 29%에 불과했다.이런 적자의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수요예측에 ...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과학동아 l201609
- 종 등 분류가 다른 미생물들이 무수히 존재할 수 있다. 헤네지 교수는 이를 ‘새장에 새 100마리와 달팽이 25마리가 있는 상황’과, ‘수족관에 물고기 8마리와 오징어 2마리가 있는 상황’을 동일하게 보는 것에 비유했다. 두 경우 모두 척추동물이 연체동물보다 4배 많다. 하지만 새장과 수족관의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09
- 큰 댐은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국경에 있는 이타이푸 댐이다(오른쪽 사진). 이타이푸 댐은 100m 폭의 수문이 네 개 있는데, 이 문이 모두 열리면 1초 동안 축구장 9개에 물을 1m 높이로 채울 수 있는 양인 6만2000m3의 물이 시속 140km 속도로 흘러나온다. 이 엄청난 양의 물은 이타이푸 댐 호수에 저장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9
- 반면 금성은 지금도 활발하게 폭발하고 있는 화산이 아주 많은 행성이에요. 지름이 100km이상인 화산만 167개가 발견되었고, 그보다 작은 화산은 수만 개가 존재하지요. 금성 표면의 대부분이 활발한 화산 활동에 의해 생겨났기 때문에 80% 정도가 마그마가 굳어진 암석인 현무암으로 되어 있답니다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