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폭
가로
고양이
고냉이
괭이
나비넥타이
d라이브러리
"
나비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포착! 동물생애 최고의 순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조그만 번데기에서 푸른큰수리팔랑
나비
가 나와 날개를 펴고 있어요. 푸른큰수리팔랑
나비
는 전체적으로 푸른빛을 띠며 날개의 끝부분에 있는 노란색 무늬가 특징이랍니다. 우리나라에는 나무숲 개울가 주변에 주로 살아요. 하지만 아주 빠르게 날아다닌다고 하니 눈을 크게 떠야 잘 볼 수 있겠죠 ... ...
나는 왜 오빠 냄새가 좋지?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많이 들어 있다. 페로몬은 동물들이 배우자를 유혹하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이다.
나비
가 짝짓기를 할 때 수컷은 암컷이 방출한 페로몬을 감지해 10km 떨어진 곳에서도 정확히 암컷에게로 날아갈 수 있다.그렇다면 사람은 향기가 아닌 페로몬에 끌리는 걸까. 과학자들은 사람에게서 페로몬을 감지하는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지구에서 허물을 벗은
나비
는 날개를 말리는 데 3~5분이 걸리는 반면, 우주에서 태어난
나비
는 같은 과정에 15분이 걸렸다는 점이다. mission4 독해진 살모넬라식중독의 원인균인 살모넬라는 2006년 아틀란티스 호와 2008년 인데버호에 실려 두 차례나 우주에 갔다. 흥미롭게도 우주에 다녀온 살모넬라는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먼저 할 일은 정확한 먹이 식물을 찾는 것이다. 곤충의 식성은 범위가 대단히 넓지만
나비
목 애벌레들은 거의 대부분 식물을 먹이로 한다. 식물을 먹는 애벌레는 한 종류 또는 매우 가까운 2~3종의 식물만을 먹는 단식성, 일정한 관계가 있는 몇 가지 식물만 먹는 협식성과 거의 모든 식물을 먹어대는 ... ...
혈당 알리는 문신에서 거미줄로 만든 피부까지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이 피부는 압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지만 곧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폴리머 소재다.
나비
한 마리의 무게도 느낄 만큼 압력에 민감하다. 올해 초에는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기능도 추가했다. 연구팀은 이 슈퍼 피부를 로봇에 적용하면 사람의 땀만 만지고도 병의 감염이나 음주 여부를 알아낼 것으로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애벌레에게는 최고의 식사감이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붉은점모시
나비
애벌레들은 잎더미 속에서 쉼터를 마련하고 있다가 처음 나오는 새 순만 먹는다. 애벌레들이 새 순만 먹기 때문에 이름 붙은 복숭아순나방도 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애벌레를 채집할 때 털이 있는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안전한 피신처이므로 항상 애벌레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네발
나비
와 큰멋쟁이
나비
애벌레의 집은 엉성하지만 몸의 크기에 맞춰 집도 개조하고 넉넉하게 이용한다. 먹고 자다가 배설물로 가득찬 집이 더 이상 집의 역할을 하지 못하면 다른 잎으로 옮겨서 새로운 집을 만든다. 아예 잎을 말아 ... ...
나비
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4∼5월 중에 암끝검은표범
나비
암컷이 북상 후 알을 낳았다는 증거이다. 암끝검은표범
나비
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서식 범위를 고위도로 확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
PART2. 지금은 곤충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나비
가 살 수 있는 아름다운 환경으로 개발되었다. 특히
나비
를 기르고 연구하는
나비
연구소도 있어 생태 학습 장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곤충 없인 못 살아! 지금은 곤충시대PART1. 곤충을 아시나요?PART2. 지금은 ... ...
[knowledge] 2050년 한국 바다는 아열대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독특해 훌륭한 관광자원이 될 전망이다. 장 소장은 “현재 파랑돔과 노랑가시돔, 꼬리줄
나비
고기, 세동가리돔처럼 관상용으로 훌륭한 어류가 100종 이상 제주 바다와 남해에서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미래 식탁을 장식할 특별 해산물 요리감도 있다. 중국에만 살던 중국굴은 2~3년 전부터 제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