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d라이브러리
"
낭비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것이 아니라 당연히 이렇게 되어야 한다는 지식에 근거해 실험을 한담녀 이는 시간의
낭비
일 뿐이다.실험에서 섣부른 결론은 금물물론 오랜 시간을 두고 관찰하면 잉크는 정말 물 전체로 퍼진다. 그러나 이것이 교과서가 의도한 것이었을까. 정말 교과서의 의도가 잉크는 밀도가 커서 밀도가 작은 물 ... ...
무궁화3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운용율을 보면 통신용은 77%인데 반해 방송용은 21%에 불과했다. 지금까지 위성방송전파를
낭비
해온 셈이다. 게다가 무궁화 3호의 발사로 방송채널은 1백70여개로 늘어난다.이처럼 무궁화위성의 방송서비스를 막고 있는 것은 위성방송의 근거가 되는 통합방송법의 제정이 계속 미뤄지고 있기 ... ...
초고속인터넷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통신 기술 덕분에 전화, 케이블 TV, 아파트 인터폰 등 가정에 들어오는 모든 선들이 데이터 통신의 고속도로가 되고 있다. 전화선을 이용한 ISDN과 ADSL, 케이블 ... 태도도 문제다. 자신의 정보요구와 서비스의 질을 잘 살펴 자신에게 맞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이
낭비
를 줄이는 일일 것이다 ... ...
컴퓨터 화면의 꽃 스크린세이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dll 파일을 지우지 못해 완벽한 삭제방법이라고 할 수 없지만 그래도 하드디스크
낭비
를 줄여준다.스크린세이버 베스트 7①스페이스셔틀1.5다양한 우주선 사진과 발사 장면을 담은 우주과학 스크린세이버. 스페이스셔틀(우주왕복선) 스크린세이버를 공급하는 사이트에서는 이외에도 우주과학과 ... ...
A4 용지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위원회(Deutsche Industrie Normen)는 큰 종이를 잘라서 작은 종이를 만드는 과정에서 종이의
낭비
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종이의 형태와 크기를 제안했다. 적절한 규격을 선택했을 때, 타자지의 절반을 그대로 편지지로 사용하고 편지지의 절반을 그대로 메모지로 사용한다면 종이를 많이 절약할 수 있을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제안한 과학자에게 이렇게 호통을 쳤다. “다른 사람이 추상적인 계획을 세워 시간을
낭비
할지라도 동무(소비에트에서 주로 썼던 말임)는 공공요원이기 때문에 국가방위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하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제트전투기지 어리석은 스푸트니크(러시아어로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손상시키지 않고 단순히 자기자신을 계속해서 복제하기만 한다. 물론 디스크 공간을
낭비
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복제기능은 있지만 해를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이러스와 구분된다.두번째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다. 전설에서 이름을 따온 트로이 목마는 특정 프로그램 내에 컴퓨터 ... ...
우리별 3호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별도로 운영할 필요가 있느냐는 지적도 나왔다. 조그만 나라에서 중복투자로 예산을
낭비
한다는 뜻이다. 이같은 이유로 인공위성연구센터는 1993년 9월부터 1995년 초까지 후속 위성개발에 대한 연구비가 끊긴 바 있다. 그러나 일견 타당해 보이는 이러한 지적들은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본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유지에 있어서도 난방이나 조명에 드는 에너지를 자연에서 얻도록 힘쓴다. 자연채광과
낭비
없는 열이용시스템이 도입돼야 함은 물론이다. 생활 속에서 배출되는 쓰레기와 오수 등도 완전히 재처리한다. 그야말로 자연에게는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고 인간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건축을 지향하는 ... ...
자기기록 매체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테이프를 이용해 데이터 입출력을 했는데, 처리속도를 생명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이렇게
낭비
되는 시간이 생기는 것은 치명적이었다. 이러한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원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바로 찾아가서 재생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전한 것이 곧 디스크(FDD, HDD) 형태의 매체이다. 디스크는 표면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