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지"(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잘 못했어요.”그의 학창시절에 대해 물었더니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고등학교 때는 단지 수학자의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1990년 일본의 대수 기하학자 시게후미 모리 교수에게 필즈상의 영광을 안겨준 ‘모리 프로그램’에 큰 매력을 느꼈다. 그 뒤로 모리 프로그램을 이해하기 위해 수학을 ... ...
- [창의] 1화 지하 이분의 일층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볼 순 없어. 그건 그냥 확률에 불과해. 삼촌은 일어날 일은 언젠가 일어난다고 생각해. 단지 그게 언젠지 아무도 모를 뿐이지.”“피, 그게 무슨 말이야.”안개 낀 날 가벼운 접촉사고가 났는데 보험회사 직원이 사고지점을 못 찾아 기다림에 지친 운전자가 차문 밖으로 나갈 확률은 얼마나 될까? ... ...
- [과학뉴스] 화력발전소 부근, 건강 괜찮을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2013년과 2014년, 충남에 있는 네 곳의 화력발전소(당진, 보령, 서천, 태안)와 석유화학단지(대산), 제철소(당진) 주변 주민 480여 명을 대상으로 환경오염 노출 평가를 했다. 평가 항목은 혈액과 신장기능, 폐기능, 소변, 심전도 및 심박동변이 등이었다.이 중 2013년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모든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선이다. 예를 들어 한 장소에서 평생 움직이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이 사람의 세계선은 단지 위로만 뻗게 된다. 나아가 민코프스키는 두 원뿔을 추가해 이 개념을 확장했다. 현재의 공간을 상징하는 평면 위, 아래에 두 개의 원뿔을 맞대고 각각 미래와 과거의 시간이라고 설정했다. 4차원을 평면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보내오는 자료도 많다. 토성 오로라는 지구 오로라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다. 단지 행성 대기의 ‘재료’가 다를 뿐이다. 토성 오로라는 수소로 인해 만들어진다. 빛을 만드는 원자가 다르니 색도 당연히 다르다. 토성 오로라는 붉은색이며, 분포높이가 무려 1000km나 될 정도로 거대하다. 그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17포커의 필승법을 살펴보자. 17포커란 가장 대표적인 카드 게임, 포커와 규칙이 같다. 단지 각각 4장씩인 에이스와 잭, 킹과 퀸, 그리고 한 장의 조커 이렇게 총 17장의 카드만 사용한다. 참가자는 딜러에게서 5장의 카드를 받는다. 한 번의 카드 교환 기회를 이용해 2장 이상 같은 문자가 나열되도록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다른 자연과학이나 마찬가지로 모호한 부분이 있고, 우리는 연구와 노력을 통해서 단지 각종 진리에 대한 증거를 찾아나갈 뿐이다. 물론 학문의 전통상 추구하는 논리의 명확성이 특히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완벽한 확신이 불가능한 것 역시 당연하다.수학의 확실성에 대한 걱정은 독일의 ...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디락 방정식 재검 이제 드디어 이런 대수법칙을 자연계의 4차원 시공간에 적용해 보자. 단지 여기서 유의할 점은 특수상대론에 의하면 벡터들의 내적이 유클리드 공간과 다르다는 것이다. 정확히 설명하면 시공간에는 서로 수직인 벡터 4개 E0, E1, E2, E3가 있어서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하는 ... ...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로봇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다.쥐와 사람 뇌에서 장소와 격자세포가 발견됐지만, 이는 단지 현상을 관찰한 것이다. 장소 정보처리를 위한 신경신호가 어떻게 생성되고, 장소와 격자세포가 장소 정보처리에 실제로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잘 모른다. 뇌 과학자뿐만 아니라 해부학자, 생리학자,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타고 북서쪽으로 20여 분 달리면 GIST(광주과기원)와 각종 연구기관이 들어선 첨단과학산업단지에 갈 수 있다. 그곳엔 햇빛을 반사해 번쩍거리며 존재감을 발하는, 거대한 우주선 모양의 은빛 건물이 있다. 바로 지난해 11월 15일 공식 개관한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Lucerium)’이다.전국에서 체험형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