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미팅
모임
회합
집합
데이트
밀회
d라이브러리
"
만남
"(으)로 총 69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 기하학과 대수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고등학교 교과서의 단원 중 이름을 가장 잘 붙인 것을 꼽으라면 ‘도형의 방정식’이다. 이 단원은 도형(기하)과 방정식(대수)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수학적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두 영역을 종합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데카르트의 좌표기하학은 사고의 창의적 확장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탄생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여행지의 매력은 새로운
만남
과 사람이다. 우연한
만남
이 불러오는 낭만적이고 짜릿한 체험이 없는 여행은 심심하다. 이것은 사람의 행동과 이동 경로가 예측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버스트(동아시아)’를 읽은 사람은 이런 생각에 동의하지 않을지도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시의 조합은 낯설기만 하다. 기자는 최근 수학 동시집을 낸 시인을 만나 수학과 시의
만남
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 들어봤다.“수학공식은 추상적인 시”“어쩌면 수학 공식은 가장 간결하게 쓴 추상적인 시 같아요.” 지난 5월 ‘숫자벌레’라는 수학 동시집을 펴낸 함기석 시인의 말이다. 문학의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만든 뒤 비눗물에 담궜다 꺼내면 다양한 비누막 모양을 발견할 수 있다. 비눗방울 3개의
만남
은 증명 못했다 “수학자가 비눗방울을 연구하는 이유는 자연을 이해하기 위해서죠. 자연현상을 관찰하면 대부분 최소작용의 원리를 따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어쩌면 자연은 수학자가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관계를 이해하는 수학 이론이다.연구팀의 고태욱 박사는 “사실 수학과 뇌 과학의
만남
은 1963년 앨런 호지킨과 앤드루 헉슬리 박사가 신경세포에 대한 수학적인 연구방법으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으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고 설명했다. 1950년대 초반에 앨런 호지킨과 앤드루 ... ...
[수학동아, 도서관에 가다]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싶다던 학생들의 모습이 눈에 선하네요. 이번 MIE(Magazine In Education) 수업은 조금 특별한
만남
이었습니다. 아마도 수학동아 독자들 중 가장 어린 독자들일 거예요.지난 4월 12일,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근처에서 학교를 다니는 초등학교 1~3학년 학생들 20명과 함께했거든요.이날 찾아간 ... ...
글로벌 벤처 내 손으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라며 “벤처 창업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사람들의
만남
이 씨앗이 돼 훗날 큰 성과를 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유수의 국내 연사와 300여 명의 참가자들이 모인 국제행사를 준비한 사람들은 누구일까.[지난해 3월부터 MIT-GSW 개최를 준비해 치열한 경쟁을 ... ...
유물로 떠나는 실크로드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대칭된 새와 양 무늬가 있어 페르시아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실크로드는
만남
의 광장이다실크로드는 교통과 통신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때에 다양한 지역의 사람들이 만나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다리 역할을 했어요. 이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보면 당시 실크로드를 오가던 ... ...
MEMS와 의생명공학의 기분 좋은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가 스마트폰을 기울여 게임을 하고, 내비게이션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다 멤스(MEMS) 기술 덕분입니다. MEMS 기술로 초소형 위치센서나 가속도센서를 개발할 수 있었기 때문이죠.MEMS란 미세전자기계시스템을 일컫는 약자로 최근 잉크젯 프린터, 자동차 가속도계 등 많은 전자기기에 쓰인다.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덩이줄기 같은 음식물이 나기 때문에 여자가 꽃을 좋아하게끔 진화했다는 설명이다.
만남
에서 고백까지. 과학이 도와준다면 지금 연락을 주고받는 그 사람과 커플이 될 수 있다. 이제 한 달 뒤에 활짝 필 서울 여의도 윤중로의 벚꽃을 혼자 볼 일은 없을 것이다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