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최적의 직사각형 비율로 뫼비우스 띠 만들어볼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두 선이 수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직한 모양을 기준으로 만든 삼각형이 바로 아래 오른쪽 그림이죠. 공간에서 이해해보면 활동지에 있는 점 a1, a2, a3를 연결한 삼각형을 말합니다. 슈바르츠 교수는 뫼비우스 띠를 만들 수 있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의 비율을 이 삼각형의 성질을 ... ...
- [최신 이슈] 있었는데, 없습니다 ... 희귀동위원소 산소-28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핵’인거죠. 존재하는 핵과 존재하지 않는 핵은 어떻게 결정하는 걸까요? 그 기준은 바로 질량, 곧 에너지입니다. 양성자 8개, 중성자 8개로 뭉쳐져 있는 산소-16은 양성자 8개와 중성자 8개 각각의 질량보다 더 적습니다. 뭉쳤을 때 더 가벼워질 수 있는 이유는 결합 에너지로 질량을 쓰기 때문입니다.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영화 ‘팟 제너레이션’ 인공 자궁으로 아이 낳는 미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알려져 있죠. 대대손손 설화로 전해지는 ‘알’이 미래에 다시 등장했습니다. 바로 영화 ‘팟 제너레이션’ 속에서 말입니다. 10월 3일 개봉한 ‘팟 제너레이션’은 인공 자궁을 이용해 임신과 출산이 가능한 미래를 그리는 영화입니다. 이곳에서 많은 여성들은 승진을 위해, 신체의 변화를 막기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개발 중 생명 윤리를 위반했다?파스퇴르의 연구 가운데 언론의 혜택을 크게 입은 것은 바로 광견병 백신 연구다. 1885년 파스퇴르의 광견병 백신이 조제프 메스테르와 장 바티스트 쥐필이라는 두 소년을 치료하는 데 연달아 성공하면서, 파스퇴르는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이듬해 겨울까지 2500여 ... ...
- [SF소설] 조이풀 데이즈 비하인드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다만 괴한이 토론에 지쳐 멋대로 하라며 놓아 버렸을 뿐이다. 미연은 정희의 기록을 읽고 바로 눈치챘던 것이다. 괴한 역시 뭐 하나 제대로 아는 게 없다는 걸 말이다.―, 그에 따라 미연은 4차원 인간으로 정의되었다. 미연은 제가 좋아하는 이들을 데려와 합의점에 따라 조정했고, 그리하여 4차원 ... ...
- [4컷 만화] 100년 전 사람 살린 썰매견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유행했어요. 당시 추운 알래스카를 가로질러 디프테리아 치료제를 마을로 운반한 주역은 바로 ‘썰매개’였습니다. 개들을 이끈 썰매견 ‘발토’의 이야기는 영화로도 제작될 만큼 유명하지요. 4월 27일, 미국 샌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학교 캐서린 문 교수팀은 당시 개들을 이끈 썰매견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이쑤시개는 균형잡기의 달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답니다. 칠레의 이스터섬에는 6백여 개의 거대 석상들이 있습니다. 바로 모아이 석상입니다. 모아이 석상은 1250년에서 1500년 사이 라파누이족이 바위로 만든 조각상이에요. 최대 80t(톤)까지 나가는 엄청난 무게의 석상을 라파누이족은 기계의 도움 없이 어떻게 옮겼던 걸까요? ... ...
- 우리 번호 교환할까? 특별하게!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마술의 핵심은 바로 곱셈이에요이지요. 친구가 맨 처음에 어떤 수를 입력하든, 125를 곱하고 또 160을 곱하면 무조건 친구가 입력한 수의 2만 배가 돼요. 또, 뒤의 네 자리 수는 두 번을 더하니, 2를 곱한 것과 같지요. 따라서 왼쪽과 같은 여덟 자리 수가 완성돼요. 이를 2로 나누면, 짜잔! 앞의 네 자리 ... ...
- [수학 궁금증 해결! 출동, 슈퍼M] 할머니의 60번째 생신은 왜 '환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이를 10간(십간)이라고 부르지요. 또, 땅을 지키는 12개의 동물도 있다고 믿었어요. 그것이 바로 ‘자, 축, 인, 묘, 진, 사, 오, 미, 신, 유, 술, 해’예요. 이를 12지(십이지)라고 해요. 각 글자가 상징하는 동물이 지금의 12개 띠가 된 거예요. 이후 십간과 십이지의 글자를 하나씩 번갈아 합쳐서 연도를 ... ...
- [기획] 노벨상의 패러디를 넘어서 이그노벨상과학동아 l2023년 11호
- 9월 14일, 2023년 이그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올해의 발표는 예년보다 좀 더 특별했다. 바로 6년 만의 한국인 이그노벨상 수상자가 나왔기 때문이다. 노벨상의 패러디로, 웃음 거리로 소비되곤 하는 이그노벨상. 연구자들의 진지하고 치열한 고민은 숨겨지게 마련이다. “웃게 만들고, 이어서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