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변환"(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모아나’ 속 바다를 만든 건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각은 무시하고 평행선만 보존하는 변환 방법이에요. 그래서 임의의 삼각형을 아핀 변환하면 정삼각형으로 만들 수 있어요.테란 교수는 “기존 알고리듬으로 바다를 표현했다면 관객은 모아나의 배가 수영장에 떠 있는 줄 알았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수학 덕분에 모아나가 겪은 역경을 생생하게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 내용을 서로 교류할 기회가 DGIST에는 많아요. 일 년에 한 번 하는 융복합연구 페스티벌이나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화요일에 열리는 소규모 세미나도 있고요. ... 바뀔 때 금속이 있어야 하는데, 이 금속에도 나노 디자인을 입혀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이는 게 목표이다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똑똑히 볼 수 있다. 갑자기 생성된 전자 회오리 속에서 쌓여있던 경판들이 분자 구조 변환되어 장갑병 형상으로 조립된다. 망할. 정말 책 속에 귀신이 들어 있었고만(도대체 어떻게 그 플라스틱에서 마크VIII급 장갑을 만들어낼 수가 있지?).이번에 나타난 것은 아까와 비슷하지만 살짝 더 크고, 훨씬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송풍기 다섯 대가 낼 수 있는 최고 풍속은 초속 31m지만 상사법칙에 따라 변환하면 100분의 1 크기의 모형에서는 무려 초속 310m의 바람이 된다. 자연계에는 이런 바람이 없기 때문에(화성에는 있을까 모르겠다) 최고 풍속으로 실험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최근 컴퓨터 성능이 좋아지면서 많은 실험을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그리고는 포도당 산화효소가 들어있는 센서를 이용해 액체의 산성 정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혈액을 추출하지 않기 때문에 통증이 없고, 실시간으로 혈당 수치를 알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8월 황교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박사팀이 그래핀 위에 수십 ㎛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기존의 2진법 소자를 이용해 2진 신호를 0과 1, 2 세 가지 상태로 변환하는 집적회로를 만드는 방법과, 새로운 소자를 이용해 세 가지 상태를 모두 나타내게 만드는 방법이다. 집적회로를 잘 설계해 전류 신호를 세 가지 상태로 나타내려는 방식이다. 기존의 반도체 기술을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때문에 회로가 아주 복잡했다”며 “이번 연구는 0, 1, 2라는 입력값을 다시 2진법으로 변환해 계산하는 방식을 탈피해 복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말했다.하지만 덧셈기와 곱셈기는 설계의 기본에 불과하다. 강 교수는 “아직 3진법 소자를 개발하는 중이라 완벽한 논리 회로를 설계하기가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EEG)를 감지하는 장치다. 수집한 EEG 데이터를 작가가 설계한 시스템을 통해 3차원 형태로 변환한 뒤, 3D 프린터로 찍어낸다. 최두은 아트센터 나비 겸임 큐레이터는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 감정의 본질과 그 역할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싶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은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자신의 RNA 정보를 이용해 DNA를 합성한뒤, 사람의 DNA에 끼어 들어간다. 이렇게 RNA가 DNA로 변환하는 과정을 역전사라고 하는데, HIV가 갖고 있는 역전사 효소가 이 과정을 매개한다. 트루바다 같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은 이 역전사 효소를 억제한다. HIV의 증식을 막아 에이즈로의 진행을 늦추고, 이미 ...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3차원 공간에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차원 이미지에서 은하의 개수를 셌다. 또 망원경으로 촬영할 수 없는 우주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