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조
골격
뼈
골
구성
조직
기구
d라이브러리
"
뼈대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이 지구를 양육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알려져 있다.은하수를 가로 질러 δ와 ε의 두별이 백조의 양 날개를 이룬다. 백조자리의
뼈대
를 이루는 α와 β를 연결하고, δ와 ε을 연결하면 십자가 형태가 돼 서양에서는 흔히 북십자성(Nothern Cross)로 잘 알려져 중세 기독교인들에게 숭상의 대상이 됐다.백조자리에는 6등성의 61번(61 Cygni)성이 있다. ... ...
새로운 삶 찾아줄 황금 의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끝에 마침내 모네스티에씨는 '문어발의 유연성과 게의 집게힘'을 발휘할 수 있는 의수의
뼈대
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또한 베릴륨(Be)을 혼합한 동(銅)으로 손등을 만들고 손바닥 부분엔 부드러운 가죽을 댐으로써 관절운동을 견딜 수 없는 가죽의 약점을 극복했다.의수의 외양에 대한 ... ...
공작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초라하기 이를데 없다.그렇다면 암컷은 무엇으로 수컷의 마음을 설레게 할까. 가는
뼈대
와 날씬한 다리, 허리 부분의 부드러운 곡선, 알맞은 어깨와 온화한 눈 등이 암컷의 매력포인트다.공작은 암수가 모두 아름다운 모습을 하고 있으나 그들 나름대로는 불만도 갖고 있다. 아름다운 옷을 입었지만 ... ...
3백만원짜리 장난감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좋아하는 동물의 형태를 한 것도 여러 개 있다. 키는 1백20㎝와 1백80㎝ 두 종류다.로봇의
뼈대
를 이루는 메인프레임은 강철로 만들어졌고 특수 모터를 작동시키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장착돼 있어 12V의 전력만 공급해주면, 별도의 값비싸고 부피가 큰 기체 혹은 유체역학장치 없이도 마치 살아있는 ... ...
리드프레임 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말한다.즉 칩에 전기를 공급하여 주는 도선(Lead)의 역할과 반도체를 지탱하여주는
뼈대
(Frame)의 역할을 동시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리콘칩 금세선(Gold wire) 성형물질등과 함께 반도체집적회로(IC) 및 트랜지스터 생산의 4대구성요소중 하나로 꼽인다. IC제조원가의 약 25%를 점유할 정도로 핵심부품인 ... ...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첫째 어금니가 4개의 도드리, 아래턱 첫째 어금니는 5개의 도드리를 갖고 있다. 허벅지
뼈대
는 납작하며 정강뼈는 둥근 모양을 하고 있었다.흥수아이의 뼈는 현재 버클리대에 소장돼 있는 수백년전의 아메리카인디언 아이들의 샘플과 비교해본 결과 많은 점에서 닮은 것이 확인됐다. 그러나 ... ...
견학명소가 된 국립과학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그림이나 모형으로 전시돼 있다. 한편 3층전시실에는 고래의 골격이라든가 호랑이의
뼈대
, 표범 코끼리 악어 등의 골격이 생생한 사진과 함께 전시돼 있다. 측우기 대동여지도 기중기 금속활자 등 과학사에 빛나는 귀중한 유물들도 아울러 볼만한 것들. 본관의 상설전시실과 함께 관람객들이 찾게 ... ...
옛 괴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시간을 보낸다. 그러나 멸종된 펠리칸은 약 90파운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그
뼈대
구조상 사람들은 단지 그것이 날개를 올렸다 내렸다 할 수 있을 뿐이지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날개짓은 할 수 없었으리라고 생각한다. 의심할 바 없이 펠리칸은 단지 위로 치솟아 오를 수 있었을 뿐이다.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아닌가 생각된다.이상의 것들이 조금 장황되긴 하지만 나의 학문세계가 형성되고
뼈대
가 갖추어지기까지의 과정이다. 그러면 물리학이란 어떤 학문이며 무슨 분야가 있는지 알아보자.소립자에서 우주까지가 연구대상물리학은 물질의 가장 미소한 소립자로부터 물질의 가장 거대한 집합체인 ... ...
디자이너로서의 생물학 창조의 제8일은 시작되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이물질과 짜맞추어질 때 관여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대부분의 고정부분은 그저
뼈대
기능만을 한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하여, 항체의 경우에 우리는 항체의 결합기능을 변화시키고 싶을 때에 분자의 비교적 작은 부분에만 우리의 노력을 한정시켜도 된다. 효소의 경우는 문제가 아주 커서 만약 ... ...
이전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