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멧줄기
산줄기
연산
산
산지
d라이브러리
"
산맥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새로운 외계행성 프로젝트를 주도할 연구팀을 구성하고 있다. 새 프로젝트는 칠레 안데스
산맥
에 있는 또 하나의 제미니천문대에 설치된 차세대 적외선카메라(NICI)로 500여개의 별을 2, 3년에 걸쳐 총 50일간 관측해 외계행성을 찍으려는 계획이다. 이는 지금까지 진행된 어떤 외계행성 탐색계획보다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환경에서는 공존하지 못한다심해저를 이루는 대륙판이 서로 충돌하는 경계 거대한 습곡
산맥
이나 해구, 호상열도 등이 발달하고 화산과 지진이 활발하다블랙홀 안과 밖의 경계를 말한다 빛이나 물질이 사건의 지평선에 다다르면 더 이상 빠져나오지 못한다 그래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은 보이지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개발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플래시기술은 스트리밍과 함께 실시간 기술의 양대
산맥
을 이룬다. 플래시메모리로 한순간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억했다가 필요할 때 바로바로 꺼내 쓸 수 있다. 휴대전화,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 각종 디지털기기에 사용되면서 디지털 시대의 순간을 포착하고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백두산 호랑이 복제를 시도했지만 아직 성공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북한이 낭림
산맥
에서 생포해 우리나라에 기증한 암호랑이 ‘낭림이’의 체세포를 얻어 복제 실험을 했다. 지금까지 여러 번 임신과 유산을 반복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백두산 호랑이 부활할까공일근 교수는 호랑이 복제에 앞서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파스퇴르는루이 파스퇴르는 1822년 프랑스 동부의 쥐라
산맥
에 있는 ‘돌’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무두장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중학교에서 초기 성적은 평균보다 약간 나은 편이었지만 학문적 열정을 일깨운 교장 선생님 덕분에 곧 학교의 모든 상을 휩쓸었다.184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길이가 300m이상인 중력파 안테나가 2대나 설치돼 있다. 최근 NAOJ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아타카마 사막에 전파망원경 80대를 주축으로 하는 아타카마밀리미터파관측시설(ALMA)준공을 앞두고 있다. 카이후 대장은 “30m급 광학망원경과 우주 적외선 및 초장기선간섭계 망원경, 길이만 3km인 중력파 ... ...
외롭지 않은 섬, 독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어요. 독도 주변 바다는 또 어떤가요? 해양 자원이 가득한 황금 어장인 동시에 거대한
산맥
이 잘 발달되어 있어 해저산의 진화 과정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세계적인 지질 유적입니다. 좀 더 들여다보면 독도의 가치는 더욱 커진답니다. 미네랄워터인 해양심층수와 불타는 얼음이라고 불리는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박차고 올랐다. 제트기에 비해 실내소음이 그리 크게 느껴지진 않았다. 눈 덮인 피레네
산맥
위에서는 2분도 채 안되는 시간에 180° 비행 방향을 틀었다. 비행 속도는 일반 제트기보다 다소 느린 편이다. 항공기는 50분간의 비행을 마치고 사뿐히 착륙했다.ATR 기종은 지금까지 72개국 120여개 항공사에 72 ... ...
지구의 거친숨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행성에 온 듯한 착각에 빠진다. 12월과 4월 사이의 우기에는 이곳이 물로 덮이는데 주위의
산맥
이 그대로 비쳐 거대한 거울처럼 보인다. 살라르 데 우유니는 해발 3665m에 있다. 물은 지표면 아래 1m 이내에서 바로 흡수되고 대신 소금이 120m까지 쌓인다.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 ...
갈릴레오의 경사면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됐다. 1592년 파도바대로 옮긴 갈릴레오는 1610년 손수 만든 망원경으로 달에 있는
산맥
을 자세히 묘사하고 목성의 달을 발견해 기록한 책을 출간하면서 유명해졌다. 하지만 말년에 그는 시력을 잃어 그간 버려뒀던 딸들에게 늙고 병든 몸을 의탁했고, 1642년 초 추운 겨울에 세상을 떠났다. 갈릴레오의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