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객
선객
d라이브러리
"
승객
"(으)로 총 335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때 주요 인사를 보호하고 주요 시설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유인(조종사 4명과
승객
16명을 태울 수 있음) 점보비행선을 영국의 AIL사로부터 사들인 바 있다. 올림픽 이후에는 국민체육공단에서 인수해 운영한 바 있다.70억원이나 들여 사들인 이 점보비행선은 계류장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노천에 ... ...
2 악천후 불문, 저공 침투 가능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동력기로 하늘을 비행한 이래 항공기는 상당한 발전을 거듭하여 왔고 현재는 수백명의
승객
을 태우고 음속에 가까운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운항 중에 있다. 2000년대에는 수시간대로 미국에서 서울로 비행할 수 있는 오리엔트특급이라 불리는 극음속기의 개발이 눈앞에 다가왔다.이중에서도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원리를 이해하고 조종하기 위해 많은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모든 승무원 및
승객
들을 관리할 수 있는 인격과 덕성을 갖추어야 한다.이들 민항공 조종사들이 갖추어야 할 조종사 자격 종류와 업무의 내용은 크게 나누어 (표1)과 같다.또한 민항공 조종사는 신체적으로 건강해야 하는데, ... ...
1 대기권을 뚫어라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고 있다. 맥도널 더글러스사도 NASA의 지원을 받아 마하4의 순항속도에서 3백명의
승객
을 1만3천km까지 수송할 수 있는 기체를 개발하고 있다.레이건 대통령은 1986년 2월 연두교서에서 "1990년대 말까지 음속의 25배로 날아 지구의 저궤도에 진입해 뉴욕에서 도쿄까지 두시간내에 비행할 수 있는 새로운 ... ...
태양전지 거북선·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22인승(승무원 2명 포함). 앞부분에서는 연기도 내뿜고 가능하다면 대포도 장착해 직접
승객
이 조작도 해보게 할 계획. 처음에는 단순하게 해상교통기관을 만들 생각으로 태양전지보트를 생각했으나 이왕이면 우리의 전통문화를 첨단과학과 조화시켜보자는 아이디어가 받아들여져 거북선으로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소형수직이착륙제트기. 넓은 공간 없이도 이용할 수 있어 비지니스용으로는 최적격이다.
승객
수는 10명 내외로 잡고 있다. 실용화시기는 2010년 경. 문제가 되는 것은 제트엔진의 소음처리.인간이 우주공간으로 활동영역을 넓히려 할 때 해결해야 할 일이 무중력상태에서 활동하는 일. 이를 위해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등을 점검한다.직접접촉파손이란 사고차량이 다른 대상(다른 차량 보행자 노변구조물 탑
승객
등)과 직접 부딪친 부위에 생긴 파손을 말한다. 이때는 눌러 붙은 페인트, 타이어고무, 포장재료, 나무껍질, 보행자의 옷조각 또는 신체조직(핏자국), 시멘트나 콘크리트 가루 등이 차량에 남게 된다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책임을 져야하는 철도청의 입장에서 보면 어쩌면 당연한 반응이라는 생각도 든다. '
승객
의 안전'이라는 대의명분 앞에서 국산화율은 어쩔수 없이 20%나 곤두박질치는 수모를 당했다.이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자의 얘기를 들어 보자. 한국기계연구소 송달호 박사는 안타까운 얘기라고 전제한 후 다음과 ... ...
α(알파)파와 θ(세타)파를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예지능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기무사에서 근무하는 이보웅씨는 지하철에서 앉아 가는
승객
을 염력으로 일으키는 실험을 성공적으로 해내고 그 경험을 고백했다. 그는 지하철 속에서 할아버지가 앉아 계신 것을 보고 염력을 걸어 자리에서 일어나게 열심히 마음의 힘을 보냈다고 한다. 노인이 갑자기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그 결과 멀미에 관한 연구가 19세기에 싹트기 시작했다. 조종사가 멀미를 심하게 하면
승객
들이 안심하고 비행기에 탑승할 수 없을 뿐더러 대당 가격이 엄청난 전투기가 비행사의 멀미와 함께 추락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우주시대가 열리자 이번에는 멀미가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