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d라이브러리
"
시나리오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1. 전파망원경으로 한반도 지각변동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설치된 후 3대의 전파망원경이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을 구성할 때 벌어질 수 있는 가상
시나리오
다. 가상으로 꾸며본 내용이지만 천문대에서 망원경으로 별만 보진 않는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얘기다.지구보다 큰 망원경을 만들자영화 ‘콘택트’에는 여주인공(조디 포스터 분)이 헤드폰으로 ... ...
컴퓨터 밖으로 나온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이제 휴대전화를 정복하고 PDA에 둥지를 튼 사이버 생명은 과연 어디까지 진화할까.그
시나리오
속으로 당신을 초대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컴퓨터 밖으로 나온 바이러스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PART2 바이러스 버스터가 왔다 PART3 인간을 노리는 컴퓨터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없지 않다. 어떻게든 영화 제작비를 받아야 했던 김 감독도 투자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시나리오
표지에 마징가 그림을 그려 넣는 고육지책을 쓸 수밖에 없었다. 훗날 태권V가 표절 논란에 종종 휩싸인 것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인간형 거대로봇을 그리다 보니 비슷한 점이 점점 많아졌어. 대신 ... ...
4. 한반도 지키는 태권 거인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탄생의 배경과 비슷한 중공업 발전이라는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태권V
시나리오
를 담당했던 지상학 작가는 사회적 관심과 맞물리는 이야기를 작품에 잘 반영했다. 1979년 제2차 석유파동이 일어나며 한국석유공사가 설립되고, 혹시라도 해저에 매장되어 있을지 모를 석유와 해양자원에 ... ...
1. 반갑다, 태권로보트야!!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맡을 수도 있고, 그냥 어린 훈이와 영희를 그대로 등장시킬 수도 있다. 아직 정해진
시나리오
는 없으며 다만 분명한 것은 30년 세월의 변화가 이야기 속에 드러나도록 하겠다”고 말한다.원 제작자인 김청기 감독도 “그동안 로봇을 비롯한 과학기술이 상당히 발전했으니 그런 내용들이 소재로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밤 잠자리에 든다. ‘디지털 나홀로족’ 김 씨의 하루는 결코 먼 훗날을 가정한 가상
시나리오
는 아니다. 다음소프트 자연언어철연구소장 이상주 박사는 “사람말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해결방법이나 해답을 찾는 웹의 등장이 그리 머지않았다”고 말한다. 인터넷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웹은 ... ...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180km의 초대형 허리케인이 강타해 뉴올리언스가 쑥밭이 됐다. ‘기후변화가 적’이라는
시나리오
가 점점 현실이 돼가는 것일까.제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을 겪으며 1980년대에는 구 소련이 적의 상징이었다. 1990년대 이 적이 테러로 바뀌었다. 2000년대 이 적은 기후변화가 됐다.이런 변화는 헐리우드의 ... ...
GPS에 도전장 낸 갈릴레오표 우주나침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이런 일대혼란 상황은 미국이 위성항법시스템(GPS)서비스를 중단했을 때를 가정한 가상
시나리오
다.2005년 한해가 거의 저물어 가던 지난 12월 28일 오후 2시19분(한국시각) 역사적인 갈릴레오 프로젝트의 첫 시험위성 ‘지오베(GIOVE)-A’를 실은 러시아 소유즈 로켓이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 ...
과학자와 예술가의 유쾌한 음모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수많은 로봇 태아의 모습을 통해 기계가 스스로 생명을 갖고 자가 증식할 것이라는
시나리오
를 전개한다. 작업 과정에서 강 박사는 기계가 생명을 갖고 있다는 노 작가의 견해에 대해 “실제 로봇을 연구하면서 인간다운 기계의 움직임에서 생명감을 느끼지만 인간의 생명과 동등하다고 생각하지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거의 없지만 작은 지진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해요.가상
시나리오
지진 관측에서 통보까지1. 우리나라에는 서울을 비롯한 부산, 제주도, 울릉도 등 75개 지점에 지진관측소가 있다. 75개 관측소는 우리나라를 바둑판 모양으로 잘라 일정한 간격에 설치하는데 지형에 따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