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벌레
유충
번데기
에벌레
d라이브러리
"
애벌레
"(으)로 총 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는 곤충상도 함께 살펴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나방이나 나비 같은 인시목 곤충은
애벌레
시절부터 식물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동시에 관찰돼야 합니다.홍영표…한라산의 정상에는 진달래 군락이 형성돼 있는데 지리산 정상에는 철쭉군락이 펼쳐져 있더군요. 제주도의 수목들은 ... ...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그런데 어떻게 코와 눈이 다르고, 두뇌와 심장은 다른 기능을 하는가. 어떻게 곤충의
애벌레
와 성충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는가. 이것은 각 세포들이 공통으로 이용하고 있는(발현하는) 유전자들이 있는 동시에, 각 세포마다 따로 이용하고 있는 유전자들도 있기 때문이다. 개체의 시기별로 ... ...
무사개미와 개미귀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노예로 부려 먹는다.(4) 개미에게 무서운 천적인 개미귀신(개미지옥)은 명주잠자리의
애벌레
다. 이들은 어떻게 개미를 잡아 먹을까 ?① 구멍을 파 놓고 그 속에 들어가 머리로 입구를 막은 뒤 머리 위로 개미가 지나갈 때까지 조용히 기다린다.② 깔대기 모양의 구멍을 판 뒤 먹이가 굴러 떨어지기를 ... ...
암호명 「타조알을 깨뜨려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수면 밖으로 내밀어 숨을 쉰다. 아가미를 통해 숨쉬는 곤충도 있다. 예컨대 실잠자리
애벌레
의 꼬리 끝에는 물고기와 구조가 다른 아가미가 붙어 있다. (6) ③ 말미잘은 대표적인 강장동물인데 촉수에 있는 자세포로 물고기를 마비 시킨 다음 촉수로 물고기를 끌어들여 강장에 가두어 버린다. 그러나 ... ...
잡아먹히지 않는 신비로운 나비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담은채 나비로 성장할 때까지 고이 간직한다.그 결과는 자명하다. 가끔 제왕나비나 그
애벌레
를 접해보지 못한 어리고 경험없는 새가 이 먹음직스러운 먹이를 조금이라도 삼키면 그 즉시 입에 문 나머지를 뱉어내고 입에 남은 맛을 없애려고 애쓰지만 병들어버리게 된다. 그런 새는 다시는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따라 그 가운데 사는 생물, 특히 수생 곤충과 물고기, 그리고 땅속에 사는 곤충들과 그
애벌레
들이 수난을 당하고 있는 것이다.대개 가로수로 포플러 플라타너스 수양버들 은행나무 등을 심는다. 그런데 이들 나무의 상태를 봐도 그 도로연변의 공기가 얼마나 오염되었는가를 알 수 있다 ... ...
1억년전의 새화석 국내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가장 높은 밀도다.덴버 소재 콜로라도대학 마틴 로클리는 당시 새가 벌레나 곤충의
애벌레
를 잡아먹기 위해 해변에 나섰다가 변을 당해 바위의 얇은 층에 화석으로 남게 된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두 종류의 새가 발자국을 남겼는데 하나는 현재의 물떼새나 작은 해오리같이 물 위를 걸어다니는 ...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대책수립에도 불구하고 점차 그 분포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이 해충은 주로
애벌레
가 벼의 뿌리에 붙어서 뿌리를 갉아먹어 벼의 생육을 억제한다. 논쪽이나 산기슭의 잡초, 나무밑 흙속에서 겨울을 지낸 성충이 이른 봄철 논으로 날아가 벼의 물속 잎짚속에다 알을 넣으면 알에서 깨어난 ... ...
비디오·오디오·TV를 통합한 멀티미디어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장면이 계속해서 보여지면서 잠자리가 돼 날아갔다. 또
애벌레
가 성충이 되기 전까지
애벌레
로 있는 기간이 얼마인지, 그동안은 무엇을 먹고 사는지도 문자로 설명돼 나왔다.철수는 다시 처음 화면으로 돌아와 이번엔 매미 그림을 선택했더니, 매미가 날개를 가지런히 모으고 나무 둥지에 앉아 있는 ... ...
솔입혹파리 때문에 소나무 전멸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때문일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외에도 비닐피복처리를 하여 월동을 위해 땅으로 낙하하는
애벌레
를 포획하는 방법이 있으나 극히 소규모일 경우에만 실용성이 있으며, 이에 따른 역효과와 경비문제가 단점으로 지적된다.삼림생태계의 연구필요성위에서 쓴 것처럼 솔잎혹파리 문제를 해결하고자 ... ...
이전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