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d라이브러리
"
양쪽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입술의 높이마저도. 물이 묻은 얼굴을 가볍게 양손으로 찰싹 때려보았다. 안경을 쓰자
양쪽
볼이 발그레하게 달아오르는 게 보였다.건물을 나오자 초여름의 햇빛이 눈부셨다. 산뜻한 박자로, 윤정은 집을 향해 발걸음을 옮겼다.실습 4회차마지막 날, 로봇과 윤정은 나란히 학생회관 계단에 앉았다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비해 머리가 뾰족하고 고막이 뚜렷한 것도 특징이랍니다.수컷 참개구리는 턱 밑
양쪽
에 울음주머니가 1쌍 있고 암컷보다 덩치가 작아요. 또 짝짓기 할때는 자신보다 몸집이 큰 암컷을 포옹하기 알맞게 앞발 첫째 발가락 아랫부분에 두툼한 ‘생식혹’이 돋아나는 특징이 있지요. 수컷 참개구리는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세상에서 가장 정밀한 자’인 셈이에요.라이고는 두 개의 터널이 맞닿은 곳에서
양쪽
터널의 끝을 향해 동시에 레이저 빛을 쏘아요. 그러면 빛이 터널 끝에 있는 거울에 반사돼 다시 되돌아오지요. 이렇게 빛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속해서 측정해요. 평소에는 두 터널을 지나온 빛의 시간이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사시 때문에 뇌로 정상적인 시각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뇌는 처음엔
양쪽
눈에서 보내오는 시각 정보를 다 받아들여요. 그러다가 어느 순간 정상인 눈이 보내 주는 정보만을 받아들이지요. 그럼 한쪽 눈으로만 보는 셈이니 입체감과 거리 감각이 떨어질 거예요. 그리고 시간이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생각했다.해밀턴에게만 그럴듯하게 보인 이 계획은 사회인류학과와 유전학과
양쪽
으로부터 퇴짜를 받았다. 부전공을 허락받기 위해 해밀턴이 찾아갔던 인류학 교수 에드먼드 리치는 인간의 모든 행동은 오직 문화로부터 유래하며 유전자는 전혀 무관하다고 굳게 믿는 사람이었다. 훗날 에드워드 ... ...
[교과연계수업] 내 눈을 지켜줘!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시력의 비밀! 3. 수업 목표 ① 눈이 잘 안 보이는 여러 가지 증상에 대해 알 수 있다. ②
양쪽
눈이 경쟁을 하는 원인과, 두 눈이 어떤 작용으로 물체를 보는지 원리를 알 수 있다. ③ 시력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알고 설명할 수 있다. 4. 교과 연계초등 5~6학년 항상성과 몸의 조절, 감각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어느 쪽 귀에 소리가 더 크게 들리는지에 따라 소리가 나는 방향을 알 수 있지요. 소리가
양쪽
귀에 도달하는 시간이 미세하게 다르기 때문이에요.소리의 방향을 알려주는 방법은 간단해요. 폭탄이 오른쪽에서 터진다면 오른쪽 스피커에서 소리를 내면 되거든요. 또 소리를 비교적 크게 내면 가까운 ... ...
[출동! 섭섭박사] 기네스북에 도전하라! 종이비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날개가 구겨지지 않고 반듯하게 접혀서 균형을 맞출 수 있어요. 또 셀로판 테이프는 좌우
양쪽
에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붙이세요.비행기를 다 접고 난 뒤에는 비행기의 몸체가 비틀리지 않았는지, 비행기의 몸체와 양 날개가 Y자 형태를 이루는지 확인해야 한답니다. 기자단 친구들은 누구보다 ... ...
Info. 중력파 어떻게 관측했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중력파는 미국 핸퍼드와 리빙스턴 두 곳에 설치된 라이고(LIGO)로 검출했다. 라이고는
양쪽
으로 팔이 4km씩 뻗은 ‘L’자 모양의 레이저 간섭계다. 이번 중력파는 라이고의 양 팔의 길이를 4x10-18m(양성자 지름의 200분의 1)만큼 변화시켰다.라이고‘늘었다 줄었다’ 중력파는 (+)방향과 (×)방향으로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폐와 피부로 호흡을 해요. 그래서 물과 땅을 오가며 살 수 있지요. 개구리처럼 물과 땅
양쪽
에서 사는 동물을 ‘양서류’라고 해요. 양서류에는 개구리 외에도 도롱뇽, 두꺼비, 맹꽁이 등이 있어요.개구리는 연못이나 논처럼 물이 거의 흐르지 않는 곳에 알을 낳아요. 암컷이 물속에 알을 낳으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