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Origin] 원숭이 사회에 흔한 관계, 동성애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인간뿐만이 아니라 영장류나 다른 많은 동물에서도 동성애 행동이 발견된다.2010년
외국
의 한 언론에 황금원숭이의 동성애에 대한 기사가 실렸다. 황금원숭이는 중국의 3대 희귀동물로 한국의 동물원에서 좋은 대접을 받고 있기 때문에 필자가 자주 접할 수 있었던 원숭이 중 하나다. 당시 연구팀이 ... ...
[헷갈린 과학] 밤 vs 말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2호
열매도 역시 밤과 비슷하게 생겼답니다.우리나라에서는 말밤을 먹지 않아요. 하지만
외국
에서는 독성이 있는 성분을 제거하고 과자 같은 음식 재료로 쓰기도 한답니다 ... ...
[현장취재] 국립수목원에 사는 9가지 귀화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1호
그런데 귀화식물은 우리 생태계에 악영향을 끼치는 나쁜 식물 아닌가요?”귀화식물은
외국
에서 건너와 우리나라에 적응해 살 정도로 강한 생명력을 갖고 있어요. 대부분 빛을 좋아해 양지에서 잘 자라고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지요. 그래서 우리나라 식물과 비교해 번식력이 강하고 빠르게 ... ...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충남 태안 앞바다는 조류가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크랩스터를 사용하기도 해요. 또
외국
에서도 수중 탐사로봇이 활약하고 있답니다.Q. 거북선을 정말 찾을 수 있을까요?진도 앞바다 수중 유물 발굴 현장은 벽파항이나 울돌목과 가까워 거북선이나 왜선이 침몰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그래서 ... ...
[헷갈린 과학] 자두 VS 살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3cm 정도로 자두보다 작고 과육은 주황색을 띈답니다. 우리가 과일로 먹는 살구는 모두
외국
에서 들여온 품종으로, 우리나라 토종 살구나무에서 열리는 살구는 너무 신맛이 강해서 먹을 수 없어요. 그래서 토종 살구나무에서 열리는 살구를 ‘개살구’라고 부르기도 해요.주황색 살구에는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맞이하셨어.박사님은 먼저 귀화식물에 대해 설명해 주셨어. 귀화식물이란 과거에는
외국
에서 살았지만,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이나 수입품 등에 씨앗이 묻어와 이제는 우리나라에 적응해 사는 식물들을 말해. 우리나라의 기후와 토양에 잘 적응해 사람이 돌보지 않아도 야생에서 잘 살게 된 거지. ... ...
[지식] 아름다운 수학을 탐험하다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가기로 결심했다.학교는 황당하다는 반응이었다. 내신 성적도 좋은 학생이 갑자기
외국
으로 대학을 가겠다니. 그러나 곧 김 교수의 유학을 지지해줬다. 그런데 또 다시 위기가 찾아왔다. 1월이면 합격 여부가 결정되고, 3월에 학기가 시작하는 한국 대학과 다르게 미국은 4월에 합격 여부가 결정되고,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나라까지 건너가 대학에 입학한다는 건 매우 예외적인 일이었다. 그는 볼로냐대의 첫
외국
인 학생이자 남학생들과 함께 수업을 들은 첫 여성이었다.로카티는 18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학위를 받았다. 하지만 그는 바시처럼 탄탄대로를 걷지는 못했다. 집안이 파산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기 ... ...
Part 2. 미세먼지보다 작은 살균제가 폐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망가뜨려서 세균을 죽이는 역할을 해요. 물에 잘 녹고 살균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외국
에서는 사람이 없는 공장이나 빈 축사를 소독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됐어요. PHMG는 손이나 몸에 닿게 되어도 해가 적어요. 하지만 사람이 마셨을 때의 독성은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어요.PGH도 PHMG와 마찬가지로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3등)을 수상했다. 그는 한국형 화재흔적 사례를 연구했다. “발화지점을 추정할 때는
외국
의 매뉴얼에 따라 화재패턴의 방향이나 그을음 정도 등 많은 흔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데, 한국 주택에 흔히 쓰이는 종이벽지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은 매뉴얼에 없습니다. 매뉴얼을 만든 미국이나 유럽,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