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86, 230, 345. 메달이 한국에 온이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EHT 공식 논문으로 발표되며 점차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특히 ngEHT 프로젝트가 시작된 이후에는 본격적으로 다주파수 동시 관측 방식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그리고 2022년 8월, ngEHT는 워크숍을 개최해 86GHz의 기능과 영향을 살폈고 KVN 다주파수 동시 관측 방식을 채택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 ...
- [과동키즈] 과학자, 작가, 예술가의 공통점은 ? 가치관에 대한 끝없는 고민이죠과학동아 l2023년 09호
- 2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함께 시간을 보내곤 합니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의 경험은 이후 카이스트와 서울대에서, 그리고 박사후 연구원으로 지내던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천재들 앞에서도 위축되지 않고 어우러져 공부할 수 있는 큰 자산이 됐습니다. 연구 속에서 만나는 짜릿한 ... ...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원리가 숨어 있어 영상의학과에 들어가면 잘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의사가 된 이후 9년간 연구를 이어가며 2022년에는 빅데이터 구축, 인공지능 모형 개발 등의 공로로 보건복지부장관 표창을 수상했답니다. IMO 2016에서 우리나라 대표가 21년 만에 만점 금메달을 받았어요. 한 명도 아니고 세 ... ...
- [최신 이슈] 우리 집 외동 식물 산세베리아, 반려식물병원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곁에 뒀는데 이파리 중 2개가 창에 닿아 화상을 입었다. 잎이 탄 것이다. 식집사는 “이후로 3년이 지났는데 한 번도 꽃이 안 폈다. 죽은 건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작은 선인장 환자는 어느 날 줄기에서 새로운 잎이 자라기 시작했다. 그런데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내는 것처럼 새로 자란 잎은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과거 뇌종양 진단은 위치와 발생기원 세포, 병리학적 단계로 나눠 진행됐다. 그런데 이후의 연구들을 통해 2016년부터는 분자유전학적 기법을 통해 진단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아뇌종양과 성인뇌종양은 암세포가 발생하는 위치에서 큰 차이가 있다. 소아뇌종양은 주로 뇌의 가운데 부위인 ... ...
- [Levle Up! 디지털 바른생활] 어린이날 기념! AI 방정환 선생님의 미디어 사용 선언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어린이날이 열리게 되었지요. 일제강점기에 일본이 어린이날을 폐지했지만, 광복 이후엔 지금과 같은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정하여 기념하게 되었습니다. 어린이날을 만드신 소파 방정환 선생님은 항상 “어린이가 어른보다 더 높이 대접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고 주장하셨어요. 지금 ... ...
- 피 땀 눈물에 뜨거운 박수를!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시험 직전에 공부를 많이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했는데, 이후 꾸준함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공부법을 바꿨다”면서, “지난 1년간 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일 공부하다 보니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고 밝혔어요. 미국 만점자인 데릭 리우 대표는 “6번 문제가 ...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9호
- 대학생임에도 불구하고 학회지에 실리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해석기하에 입문했어요. 그 이후 3학년 1학기에 학교로 돌아가 해석기하 수업과 세미나를 많이 들으면서 기하적인 도구로 위상 문제를 풀어내는 매력에 더 푹 빠졌죠. 전 두 가지 꿈이 있어요. 하나는 해석기하 분야에서 난제를 풀거나 ... ...
- Part5. 우주의 끝에서 빅뱅 직후를 목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얻는 분광관측을 실시해 적색이동 값을 정확히 결정해야 한다. 최초 계획 수립 이후 거의 40년의 우여곡절 끝에 발사된 제임스 웹은 지난 1년 간 우주에 대한 여러 가지 놀라운 사실들을 알려줬다. 계획 당시 존재 자체가 의심스러웠던 초기우주 은하의 모습을 확실히 보여주는 한편, 기대 이상으로 ... ...
- [최신 이슈] 신약 개발에 불어온 새 바람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새로운 mRNA 백신을 개발할 때 좋은 참고자료가 되기 때문이다. 남 교수는 “팬데믹 이후로 이 분야 연구자가 많이 생기면서 연구가 활발해졌다”면서 “한국도 곧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내다봤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위기는 mRNA 백신 기술의 발전을 앞당겼다. 그렇게 성장한 기술이 다시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