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성
d라이브러리
"
인공위성
"(으)로 총 1,406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4월 27일자에 동시에 발표했다.doi:10.1126/science.aat2010 연구팀은 원거리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역시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지진이 발생한 위치가 지열발전소와 가까울수록, 지열발전과의 연관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근거로 ... ...
[Future] 국내 첫 과학기구, 스누볼 발사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넷째, 발사 준비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설계에서 발사까지 최소 2~3년 걸리는 로켓이나
인공위성
에 비해 과학기구는 대략 6개월 정도면 모든 과정을 마무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사 장소 선택이 자유롭다. 발사에 필요한 장비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기 때문에 별도의 발사 기지가 필요 없다. ... ...
[Interview] 두 번째 한국 우주인 배출 돕고 싶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로프트 오비털은
인공위성
을 만들고 발사할 능력이 없는 국가에
인공위성
을 빌려주는 회사인데요. 큰 시장에서 경험도 얻을 겸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뭘 하든 우주인이라는 타이틀 때문에 실무에 접근하기가 쉽지 않았어요. 미국에서는 (국적상) 소수자이기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드드드득~’.핸들이 돌아가더니 ‘에트리카(Etri-Car)’가 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자율주행자동차다. 5인승 자동차의 뒷자리에 덩그러니 혼자 남겨졌다. 시속 15km, 에트리카가 천천히 움직인다. 하지만 체감은 고속 질주다. 전방에 사람이 보일 때마다 ‘으헉’ ‘앗’ 같은 감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우공(愚公)은 집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기로 결심했다. 산의 높이는 무려 30km. 우리나라 한라산의 15배다. 우공은 일일이 흙과 돌을 파내 바다로 옮겼다. 우공이 마치지 못한 일은 자손들이 맡았다. 대대손손 한 우물을 파온 우공 가(家)의 꾸준함에 감동한 신은 직접 나서 산을 다른 곳으로 옮겨준다.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머지않은 미래에 의료진은 초인적인 시각과 촉각을 얻게 될 겁니다. 로봇 덕분이죠.” 로봇이 수술에 사용되는 방식은 두 가지다. 의사의 손을 대신하는 ‘수술 로봇’과 눈을 대신하는 ‘수술 내비게이션’이다. 수술 로봇은 배꼽이나 입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 흉터를 남기지 않는 수술에 주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오로라가 많이 나타나게 돼요. 그런데 강력한 태양풍은 지구 자기장을 교란시켜서
인공위성
이나 스마트폰 등 전자 장비를 고장 낼 수 있어요. 오로라가 많이 나타난다는 건 그만큼 태양풍이 강하다는 뜻이니 과학자들이 주의 깊게 관측하는 거예요. 문경수 과학탐험가는 “오로라는 태양풍에 의한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돌 때 꼭짓점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는 결과가 나왔다. 고 교수는 “꼭짓점에서는 지구와
인공위성
의 만유인력이 훨씬 커지는 탓에 실제 지구에서처럼 안정적인 궤도로 돌지 못하고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실제 우주에서 정육면체 모양의 천체는 존재할 수 없다. 만약 존재한다고 ... ...
움직임을 지배하는 운동의 법칙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실험은 현재
인공위성
을 개발할 수 있었던 이론적 배경이 됐다. 실제로 지구 주변을 도는
인공위성
의 경우는 7.9km/s의 속력으로 날아갈 경우 지구에 떨어지지 않고 지구 주변을 안정적으로 돌 수 있다. 중력은 지구의 여러 자연 현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태양과 지구, 달과 지구 사이에 작용하는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50m 거리에서 송수신에 성공했다. 한상욱 KIST 양자정보연구단 선임연구원은 “중국은
인공위성
을 이용해 대륙 간 양자암호통신을 성공시켰고, 우리는 광케이블이나 레이저를 이용했다는 점이 다르다”며 “양자암호통신은 광자의 양자역학적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다”고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