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네시아"(으)로 총 3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아있는 화석과학동아 l1998년 12호
- 고기맛도 마찬가지다.인도네시아에서 실러캔스가 발견됨으로써 코모로 군도와 인도네시아 사이의 인도양에 흩어진 섬들을 뒤지면 제3, 제4의 실러캔스 서식지가 나타날 가능성도 높다. 만약 그렇게만 된다면 실러캔스의 서식지 형성과정과 고해양 환경의 변화를 유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
- 1. 주도세력 없는 공백기의 게릴라성 호우과학동아 l1998년 09호
- 열대성 강우지역이 북쪽으로 이동해 중국 남부지역에 형성됐다. 때문에 올 봄부터 인도네시아 등지는 건조해져 산불이 발생하는 반면, 양쯔강 지역에서는 홍수가 나고, 습기를 많이 머금은 공기가 우리나라 쪽으로 계속 밀려오면서 많은 비구름을 공급하고 있다.주도세력 없는 조정 국면서울대 ... ...
- 엘니뇨는 가고 라니냐가 온다과학동아 l1998년 08호
- 됐다.‘세기의 엘니뇨’라고 불렸던 1982/83년 엘니뇨에 의해, 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등지에서 극심한 가뭄에 의한 피해가 속출했고,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미국 등지의 홍수 등 전세계에서 2천여명의 사망을 비롯해 약 65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1백30억 달러의 ... ...
- Ⅲ 약 주는 곰팡이: 장맛보다는 곰팡이맛과학동아 l1998년 03호
- 써서 만든 간장은 맛이 없고 된장조차 감칠맛이 안난다. 한국의 된장, 일본의 미소(miso), 인도네시아의 템페(temphe)는 모두 콩을 푹 삶은 후 여기에 공기중의 곰팡이를 자연적으로 붙게하든지 또는 특정 곰팡이를 인공적으로 접종시켜 콩을 미생물적으로 가공한 발효식품이다.멀건 콩나물국이 맛있는 ... ...
- 곤충이 범인을 잡는다과학동아 l1998년 03호
- 당시 대마초에서는 60종의 곤충 표본이 발견됐다. 콩바구미는 동남아시아에서 살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없는 종이고, 어떤 벌은 인도 근처에서 발견되는 종이었다.이런 식으로 곤충들이 주로 서식하는 장소들을 지도에 표시해 좁혀간 결과 대마초를 기르고 있는 장소가 태국과 안다만해 사이에 ... ...
- 금 이야기과학동아 l1998년 02호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뒤를 이어 미국, 옛소련, 호주, 캐나다, 브라질, 칠레, 중국, 가나, 인도네시아에서 10t 이상의 금이 생산된다. 우리나라는 최근 유일한 금광인 충북 음성의 무극광산이 채산이 안맞아 채광을 중단함으로써 '금맥'이 끊긴 상태.금이 귀한 이유는 자연 상태 외에 어떤 방법으로도 ... ...
- 한반도에 엘니뇨 재앙 닥칠까과학동아 l1997년 12호
- 한반도 주변의 자연재해가 대부분 ‘엘니뇨 탓’으로 돌려지기 때문이다. 한 예로 인도네시아에서 산불이 3개월째 꺼지지 않는 이유가 엘니뇨의 영향 때문이라는 설명이 제기됐다. 더욱이 올 여름 중국 남부와 북한을 강타한 극심한 가뭄이 엘니뇨 때문에 발생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물론 ... ...
- 80년 후 지구상에 열대우림은 없다.과학동아 l1997년 11호
- 지키기 위한 지역 주민들의 움직임도 없지 않다. 아마존유역 토착 원주민 조직(COICA)이나 인도네시아의 ‘환경포럼’, 인도의 ‘치프코 운동’, 케냐의 ‘그린벨트’란 이름의 조직이 벌이는 나무심기 운동은 열대우림 보호의 새로운 희망으로 부상하고 있다.우리들이 열대우림을 보호하기 위해 할 ...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과학동아 l1997년 10호
- 2일).■바이킹 1호가 화성의 크리세사막에(7월20일), 2호가 유토피아평원에 착륙(9월3일).■인도네시아가 동남아시아에선 최초로 독자적인 통신위성을 보유(8월17일).1977■미국, 보이저 2호(9월5일)와 1호(9월29일)를 발사. 보이저 2호는 목성(79년7월), 토성(81년8월), 천왕성(86년1월), 해왕성(89년8월)등을 ... ...
- 엘니뇨가 다가온다.과학동아 l1997년 10호
- 보인다.이번 엘니뇨의 영향은 평소와 다름 없이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인도네시아와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남서부 지역은 가뭄이, 열대 중태평양은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페루와 칠레는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4개월 간 계속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