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작
집필
쓰기
작문
저서
작성
작품
d라이브러리
"
저술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권두언에서 "내가 말하는 사이언티 픽션은 줄베르느, 웰즈 그리고 에드거 앨런 포우 등이
저술
했던 소설, 즉 매력적인 로맨스가 과학적 사실 및 예언적 비전과 혼연일체가 된 소설을 말한다"라고 밝혔다. 물론 '미래 예측'이 과학소설의 가치를 잴 수 있는 모든 척도는 아닐지라도 건즈백은 과학과 ... ...
왜 밤하늘은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우주의 팽창때문이다. 이러한 논리는 매우 매력적이어서 나는 천문학에 관한 책들을
저술
할 때 이 이론을 올버스의 파라독스를 푸는 열쇠로 활용하기도 하였다.그러나 이 역시 똑같이 틀린 논리였다. 웨슨은 과연 얼마만큼의 빛이 우주의 팽창과정에서 상실되는 것인가를 계산코자 많은 노력을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함께 MIT부설 인공지능연구소의 공동 창설자로서, 우리나라에는 신경망회로에 관한
저술
'퍼셉트론'(Perceptron) 으로 잘 알려져 있다.페이퍼트는 레고연구 이외에도 보스톤 슬럼가에 있는 한 국민학교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학생 한명 당 컴퓨터 한대를 주면 도대체 교육시스템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갑자기 외계인들과 접촉하기 시작하면서 뛰어난 언변과 문장력을 발휘하며 강연회와
저술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다.이들의 철학은 나름대로 심오한 경지에 도달했으며, 기존의 성자와 같은 대열에 자신을 끌어올림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종교를 이끌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공통적으로 보여주는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사람은 초야에 묻혀 유유자적했던 조선선비들이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16세기 말에
저술
된 한백겸(韓百謙)의 '동국지리지'(東國地理誌)나 18세기 초 이중환(李重煥)이 쓴 '택리지'(擇里誌)에 담긴 지리적 사상과 세계관을 한번 음미해볼 필요가 있다. 추상화된 세계지도와 현실적인 지도를 함께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쏘아올리자 미국이 자기반성끝에 제일 먼저 한 일이 과학교육의 개편과 대중적인 과학
저술
가의 양성이었습니다. 이 때 컬럼비아 하버드대 등에서 세계적인 과학자들에게 특수교육받은 저자들이 오늘날 미국의 언론이나 출판계의 과학분야를 탄탄히 지탱하고 있지요." 현원복씨의 말이다. 생활에서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망원경을 구상한 사람은 스코틀랜드의 그레고리(J. Gregory)다. 당시 24세였던 그는 1663년에
저술
한 옵티카 프로마타(Optica Fromata)라는 책에서 현재 그레고리식이라고 일컬어지는 망원경을 구상해 제안했다. 이 망원경의 구조는 뉴턴식과는 달리 반사경에 구멍을 뚫어 뒤에서 보게 되어 있는 구조인데, ... ...
대중적 관심 끌어내는 데는 성공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넘기고 있다.앞에서 예를 든 몇가지 책들만 봐도 대부분이 외국책을 번역한 것. 전문 과학
저술
가는 아직도 손가락에 꼽을 정도이며 전공학자들의 노력도 크게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과학분야에서 일반대중을 상대로한 교양도서를 낸다는 것은 쉽지 않으나, 교양도서의 발간이 연구 못지 않게 ... ...
「우주의 창조」과학독서계에서 인기끌어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대사관으로 피신해 더욱 유명해진 중국의 물리학자 '팡 리지'(方勵之)와 '리슈찬'이 공동
저술
한 '우주의 창조'라는 책이 세계의 과학독서계에서 크게 인기를 끌고 있다.두사람의 저자는 80년대 천문학적 성과를 바탕으로 비교적 쉬우면서 재치있게 우주의 신비를 풀이해줘 전문가아닌 어느정도 ... ...
원전11·12호기 안전성을 둘러싼 공방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완전한 모델로 정착된다는 뜻이다.우리가 시험 대상(?)원자력위원을 역임한 박익수 과학
저술
인협회장은 지난 4월27일 한국경제과학연구원이 주최한 세미나에서 "우리가 계약한 1백4만KW 원전은 CE사로서는 처음 건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전 11,12호기는 CE사의 시험대상인 시험원전인 셈이다"라고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