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d라이브러리
"
저자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만들어진 구름이 햇빛을 반사시켜 북극의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는 것이다.논문의 교신
저자
인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대기과학과 제프 피어스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지구의 기후 시스템이 생태와 대기 등 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 ...
[과학뉴스] 어디 사니? 날개 보면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나무 사이를 빠르게 통과할 수 있도록 날개가 점점 짧고 둥근 모양으로 변했다.논문의 제1
저자
인 조나단 케네디 박사후연구원은 “날개가 특별히 진화하지 않는 한 새들은 장거리 여행을 하지 않는다”며 “이번에 제작한 지도를 통해 인류는 새의 날개 모양과 지구상 분포 사이의 관계를 알게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마치 대학원생처럼 마요라나의 아이디어로 직접 논문을 쓴 뒤 자신과 마요라나의 이름을
저자
로 써 넣었다.하지만 그게 끝이었다. 1938년 3월 25일, 팔레르모에서 나폴리로 향하는 배편을 탄 그는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자취를 감춘 날 나폴리물리연구소 소장인 안토니오 카렐리에게 보낸 편지가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중요한 개념과 논쟁을 충실하게 담아냈다.쉽지 않지만, 분명 사랑스러운 책이다.
저자
의 블랙홀에 대한 애정이 담뿍 담겼다. 1962년 대학원 진학을 앞두고 블랙홀이란 용어를 만들어 낸 저명한 물리학자 존 휠러와 대화한 지 1시간 만에 블랙홀을 연구하기로 마음 먹었다고 하니, 말 다 했다. 블랙홀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진짜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은 오른쪽 해마옆이랑 영역이 활성화됐다.논문의 교신
저자
인 노스웨스턴 의대 바니아 압카리안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누가 플라시보 반응을 강력하게 보일 수 있는지 미리 골라내 임상 시험을 지금 보다 훨씬 정확하게 할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 연구 ... ...
[과학뉴스] ‘화성의 달’ 속 거대 크레이터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또 표면에 패인 자국은 이 물체가 천천히 굴러간 흔적이라고 추정했다.논문의 교신
저자
인 메간 브룩 시알 박사는 “이처럼 지구에도 작은 소행성이 빠르게 충돌하면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구물리학 연구지’ 10월 8일자에 실렸다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재현하고 ‘뉴턴 철학의 요소들’이라는 책을 펴냈다. 공동 저작이었지만, 당시 여성은
저자
로 이름을 올릴 수 없었기 때문에 볼테르의 이름으로만 출간됐다. 하지만 볼테르는 친구와의 편지에서 이론적인 부분은 모두 에밀리가 맡았고 자신은 이를 받아 적었을 뿐이라고 말했다.이뿐만이 아니다. 1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분석했다. 새로운 시뮬레이션에는 황산염 농도의 변화가 추가됐다.논문의 제1
저자
인 NASA 우주생물학연구소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막지 않을까. 현대과학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어떻게 실현할지 궁금했다면
저자
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자. 최근 국내에서 젠더가 평등한 작품을 발굴하자는 목소리가 커졌다. 여러 소설과 웹툰, 영화가 목록에 올랐다. 이들 작품에서 생각지 못했던 지점을 만나면 내밀한 기쁨에 ... ...
[과학뉴스] 광합성의 적, 해충보다 더위!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사는 나무들은 다른 지역에 사는 나무에 비해 탄소 저장량이 크게 줄었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에밀리 마인키 연구원은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지난 1년간 롤리 지역이 도시온난화로 더워지면서 이 지역에 사는 졸참나무가 저장한 탄소량이 예년에 비해 12%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