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d라이브러리
"
전염
"(으)로 총 8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생물학 무기 탄저균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주한미군은 표본을 락스 성분의 표백제에 넣어 폐기했다고 발표했다).공기를 통해
전염
된다는 것도 탄저균의 무서운 점이다. 보통은 오염된 동물의 배설물, 사체 또는 흙에 닿았을 때 감염되지만 때로는 피부나 호흡기를 통해서도 체내에 침투할 수 있다. 탄저균이 체내에 들어오면 초기에는 약한 ... ...
전염
병 예측하는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서아프리카에 에볼라가 빠르게 번지기 시작하던 작년 9월, 미국국립보건원 병원균모델연구팀(NIH MIDAS)은 심각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내놨다. 현 ... 요소를 수학적으로 보다 정교한 알고 리듬으로 만들어 소프트웨어에 반영할수록,
전염
병의 피해를 정확하게 예측해 방역대책을 세울 수 있다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재난으로 상수 시설이 파괴됐을 때 오염수를 그냥 마시면 살모넬라균과 콜레라균에
전염
돼 목숨을 잃을 수 있다. 런딘은 이때 “빨간약을 꺼내라”고 말한다. 진흙이나 플랑크톤 같은 입자성 물질로 탁하게 오염돼 있는 물 1L 정도에 10% 포비돈 요오드 용액 여덟 방울을 떨어뜨린 뒤 30분 정도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땅에 똑같은 나무만 심으면 숲은 질병에 약해진다. 나무를 위협하는 질병은 주변 나무로
전염
되거나, 같은 종 안에서만 퍼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에는 모자이크처럼 여러 종류의 나무를 번갈아 심으면, 병충해가 숲 전체로 퍼져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 속도도 줄일 수 있다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작으면 경계가 약해서 다른 동물에게 잡아먹히기 쉽지요. 반대로 너무 크면 눈에 잘 띄고
전염
병에 약합니다. 서로 말은 안 해도 적당한 크기의 무리를 유지하면서 살아가는 겁니다.김 박사님은 올해부터 펭귄 연구에 더 집중할 계획입니다. ‘바이오로깅’이라는 기술을 이용하면 먹이를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제2의 에볼라’를 대비하는 계기로 삼아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으로 나올 새로운
전염
병에 어떻게 대응할지 경험을 쌓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한국도 서아프리카에 의료진을 보냈다고 들었는데 안전만 잘 지킨다면 의학적으로 좋은 경험이 될 겁니다.”그는 한국인 연구자로서의 사명감도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99.97% 이상 걸러낸 뒤 맑은 공기를 안면보호구에 공급한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공기로
전염
되지는 않지만 기관 삽입 등의 고난도 수술을 할 때 의료진에게 체액이 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서 사용한다.감염사고 대부분은 ‘벗으면서’ 발생기온이 40℃가 넘는 아프리카에서는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 ...
공포의 에볼라바이러스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7호
퍼질까?지난 8월 6일 대한의사협회와 대한감염학회는 “에볼라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전염
될 가능성이 무척 낮으므로 심각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발표했어. 그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에볼라바이러스를 두려워하고 있지. 하지만 너무 걱정 마! 조만간 에볼라바이러스를 예방하는 방법이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어떻게 전파되는지를 보여 준다. 이 모델은
전염
병이 유행하는 초기 환경 조건과
전염
병이 발생했을 때 퍼져나가는 확산 정도를 예측한다. 앞에서 다룬 에볼라 수리 모델은 SIR에 변수 3개를 더 추가한 것이다. 더 나아가 인체를 분석해 질병을 알아내려면 혈액 같은 유체의 움직임을 잘 알아야 한다. ... ...
[fun] “질병 최전선에 있는 학자”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최전선에서 학자들은 바이러스와 대치하고 있다.인류 역사에서
전염
성과 치사율이 높은
전염
병과 싸운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4세기에 유럽에서 유행했던 페스트(흑사병)도 있었고,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속수무책으로 당하던 천연두도 있었다. 그 때마다 과학자들은 본인이 감염될 위험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