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찰
인사
구절
구
사원
귀절
말마디
d라이브러리
"
절
"(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히 아름답고 희귀한 왕오색나비와 홍점알락나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의 제2, 제4, 제7마디에 1쌍의 3각형 인편상이 크게 보인다.홍점알락나비의 유충은 복부 제2
절
에 1쌍의 3각형 인편상이 없어서 왕오색나비의 유충과 구별할 수가 있다. 한편 홍점알락나비의 유충은 2~3령때 두부(頭部), 흉부(胸部)를 들고서 정지해 있는데 왕오색나비의 유충은 몸전체를 잎면에 밀착하는 ... ...
첨단의 약제를 찾아서 미사일 약 딱 한번 약 붙이는 약…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방출제어형 제제의 개발에 의해 약의 순응도가 개선됨은 물론 혈중농도 양상까지도 조
절
할 수 있게 되었다.●―약에 대한 새로운 해석 나와새로운 약운반체계(Drug Delivery Sy-stem·DDS)의 개발을 목표로 1968년에 알자(Alza)사를 세운 '자파로니(A. Zaffa-roni)'박사는 약에 대한 새 인식을 강조하며 이렇게 ... ...
AIDS가 성큼 올림픽을 앞두고 다시 살핀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같다.1. 확실한 이유없이 수주이상 계속되는 극심한 피로감.2. 경부(頸部)나 겨드랑의 림프
절
이 붓는다.3. 2개월이내에 4~5kg이상의 체중감소.4. 수주간 계속되는 열과 잘때 식은 땀.5. 감기나 독감에 걸렸을 때보다 훨씬 더 오랫동안 계속되는 기침과 숨가쁨.6. 쉽게 없어지지 않는 입과 눈언저리에 멍든 ... ...
제3의 의학이 생겨날 것인가 동양의학과 서양의학의 결합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있다. 이같은 사실에서 의학은 하나이어야 하며 의학에 동과 서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절
감하게 된다. 화학이나 물리학에 동과 서가 따로 있을 수 없듯이 의학이란 학문에도 동과 서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의학의 목적은 건강을 증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고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 ...
달력이 탄생되기 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지키는 것'을 골간으로 하여 '3월 25일 이후 보름달이 뜬 후 최초의 일요일'로 부활
절
날짜가 결정되었다.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태음력과 함께 필수적으로 태양력을 사용해야만 했다. 결국 태양력을 태음력과 동시에 사용하는 안이 채택되어 이후 기독교 사회에서 태양력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 ...
신비의 섬 발리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소핑리스트에 오른다. 사원의 벽에는 여러가지 채색그림이 많이 그러져 있다. 한국의
절
에서 보는 그림과는 좀 다르게 느껴지지만 힌두교에 불교의 요소가 가마되어서 인지 어느정도의 유사성도 동시에 느낄수 있다.종교적색채가 덜한 그림도 눈에 띄는데 남방의 화사한 꽃과 뱀같은 동물, 화산의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앞에서 언급했듯이 1987년 중순부터 연구가 시작될 것이고 결과는 1988년 부활
절
에 알려질 것이라고 한다.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수의의 역사 의문 속의 수의가 정말로 예수의 수의라면 그 역사는 의심할 여지도 없이 나사렛 예수로 거슬러 올라가야만 한다. 그러나, 실제로 수의가 역사속에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산란습성에 따라 그 신호의 감각이 시각에서 후각으로 이어지는 폭넓은 활동으로 적
절
한 산란장소를 알아내고 있는 것이다. 큰밀잠자리 큰밀잠자리(Orthetrum triangulare melania SELYS)는 청령목(蜻蛉目) 잠자리과다. 지방에 따라 수컷을 쌀잠자리, 암컷을 보리잠자리라 부르고 있으나 암수가 모두 같은 ... ...
물리 힌트나 연구를 이용해 응용력을 길러야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다음과 같이 엮어져 있다. □ 특징과 이용법학습의 요점 - 각
절
(§)의 첫머리에 그
절
에서의 중요한 포인트를 설문형식으로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무엇을 중심으로 공부해야 할 것인가를 한눈으로 알 수 있도록 하였고, 또 학습이 끝난 후의 이해도의 체크에 도움을 줌으로써 금후 입시에서 예상되는 ... ...
쉽고 재미있게 과학공부를 잘하려면…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적어보고 의문점을 적어 두었다가 선생님을 만나 해결하자. 요약할 때에는 교과서의 한
절
을 모두 읽은 다음 단락을 다시 읽고, 단락별로 요약하여 노트에 적는 습관을 기르는것이 좋다. 노트에 요약하여 적는 경우 교과서를 보지 않고 머리 속에 그 내용을 떠올려 그림과 함께 적어야 한다. 생각이 ... ...
이전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