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상"(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턱 외골격과 같은 특성이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이 동물이 유조동물과 공통 조상을 갖는 친척이고, 절지동물과는 거리가 멀다고 결론지었다. 할루키게니아는 5억 년만에 ‘족보’를 찾은 셈이다. 이 연구 결과는 ‘네이처’ 8월 17일자에 실렸다 ...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처음 발견됐다. 영화 ‘쥐라기공원’이 아예 근거가 없진 않은 셈이다. 이후 몇 개의 조상 화석이 더 발견됐는데 모두 현재의 모기와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오랜 시간 지구에 살아남은 모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흡혈 대상을 공룡에서 포유류로 갈아탔다.26일이면 새로운 모기가 ...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인간과 침팬지가 유전적으 로 99% 이상 비슷하다는 사실도, 조류와 포유류가 어떤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왔는지도 이를 통해 계산해냈습니다. 기무라의 방정식은 수학과 생물학의 융합분야인 ‘수리생물학’의 토대를 이루고 있습니다.생태학에서도 의외로 수학이 폭넓게 쓰이고 있습니다. ... ...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미스터리가 많은 경우는 더욱 어렵습니다. 과연 무엇이 색을 구분하지 못하던 우리 조상들을 현재의 모습으로 이끌었을까요. 이런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아직은 알지 못하지만, 언젠가 해답을 제시하는 날이 올 겁니다. 많은 영장류학자들이 이 숙제를 풀기 위해 ... ...
- PART 1. 꽃이 없었다면, 지금 당신은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나무가 드문 초원 지대를 만들었습니다. 포식자를 피하고 먹이를 찾기 위해 인류의 조상은 두 발로 일어서야 했을 겁니다. 두 손이 자유로워지면서 도구를 사용하고, 손짓도 하게 됐을 거예요. 나는 그 결과 언어를 사용하는 지금의 인류가 탄생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인류의 진화는 논쟁이 매우 ... ...
- INTRO. 꽃,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빠른 속도로 생태계를 바꿔나갔다. 현생하는 모든 곤충과 초식동물, 영장류, 인류의 조상은 꽃과 함께 공진화를 거듭하면서 현재의 모습이 됐다. 향기 좋은 꽃은 꺾여지고 달콤한 열매는 요리됐지만, ‘인간꿀벌’들은 지구 곳곳에 씨앗을 뿌려 더 많은 꽃이 자라게 했다. 꽃의 탄생과 진화에 얽힌 ...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이번 논문에서는 이끼류로부터 고사리류, 겉씨식물을 거쳐 최초의 꽃식물인 암보렐라 조상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전체 유전체중복 현상이 있었다는 것을 밝혔는데, 아마도 이것이 꽃식물의 폭발적 진화를 이끄는 원동력이었을 것이다. 또한 ‘삼중전체유전체중복’ 현상이 일어나 ...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육상 포식자는 아니었다. 티라노사우루스는 중생대의 마지막 2500만 년 동안 번성했는데(조상인 티라노사우루스상과는 1억6500만 년전부터 존재), 종은 다양했지만 대부분은 크기가 1~2t 정도로 작았다. 작은 티라노라니, 매력 없지 않은가?하지만 백악기 마지막 수백만 년 동안은 이야기가 다르다.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또 눈이 커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뛰어났다.마침내 이들의 후손은 인간의 조상인 유인원정도의 진사회성을 이룩했다. 동료에게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각종 시나리오를 구상하고 가장 합당한 행동을 택할 수 있었다. 다 같이 먹이를 구하고, 집을 가꾸며 새끼를 키웠다. 세대에 걸쳐 경험이 ...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고고학과 엠마 넬슨 교수팀은 2011년 왕립학회보B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 연구를 인류의 조상에 응용했다.그에 따르면, ‘루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는 1부1처일 가능성이 높고 아르디피테쿠스, 네안데르탈인은 모두 1부다처의 가능성이 높았다. 초기의 현생인류도 다뤘는데, 오늘날의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