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스터리 손님이 알려주고 간 것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내가 힌트를 주겠소. 어떤 분수가 더 큰지 한눈에 알기 어려울 때는 ‘통분’이 필요하오.” 분모를 같게 만들기 위해서, 1/4의 분모와 분자에 2를 곱해 2/8를, 3을 곱해 3/12을 만들 수 있어요. 반대로 3/12을 분모, 분자의 공약수인 3으로 분모, 분자를 각각 나눠주면 1/4이 되지요. “분자와 분모에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생물학 연구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연구할 때는 생물학과 수학, 화학이 모두 필요해요. 특정 한 분야에 관심을 두는 건 좋지만, 그 분야만 공부해선 안 됩니다.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는 게 중요해요. 오는 11월 열리는 포럼에서 동양의 노벨상 격인 ‘쇼 상’ 수상자가 선정될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하고 현명한 오픈채팅 사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발생할 수밖에 없죠. 어린이 여러분은 이런 문제들을 미리 숙지하고, 현명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어요. 오픈채팅 시 이것만은 조심! 먼저 오픈채팅에는 허위 정보가 많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요. 오픈채팅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넘쳐나지만, 그중 사실이 아니거나 과장된 정보도 많아요. 여러 사람이 ...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강에 방류하는 사업이 대표적인 사례지. 이를 위해서는 미유기의 산란에 관한 지식이 필요한데, 그간 미유기가 어떤 조건에서 알을 잘 부화시키는지에 관해서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었어. 김강래 박사는 “이번 연구는 미유기의 알 부화 과정을 연구한 첫 사례”라며 “미유기 종의 보전을 위한 기초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모두에게 행복한 일이 될 수는 없을 거예요. 그래서 나의 행복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문득 떠오르지 않다면 지금부터 나의 행복을 찾아보세요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수상스키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폴’을 사용할 수 없었고, 무거운 겨울 스키와 달리 가볍고 물에 잘 뜨는 스키가 필요했죠. 랄프는 목재로 직접 스키를 제작하기도 하고, 물에서 잘 나아갈 수 있는 자세를 연구했어요.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한 끝에 몸을 뒤로 젖힌 채 스키 끝을 물 밖으로 들어 올린 자세가 최적이라는 결론을 ... ...
- [이달의 우주날씨] 엔셀라두스에서 발견된 물기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유기물, 대기가 있는지 찾고 있어요. 지구에 사는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물이 필요하고, 생명체의 활동으로 유기물이 만들어 지며, 적당한 대기는 태양 빛으로부터 생명을 보호하니까요. 지난 5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 웹 우 주 망원경이 토성의 위성인 엔셀라두스에서 솟구친 ... ...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어떤 한계를 넘어야 할까요?지구에서 우주로 로켓을 발사하려면 아주 많은 양의 연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니 로켓의 대부분은 연료로 차 있지요. 이 영상에서는 로켓이 더 적은 연료로 더 많은 화물을 싣고 갈 방법으로 ‘스카이훅’을 제시합니다. 스카이훅은 수천km 길이의 케이블에 로켓을 ... ...
- [메타버스 여행법] 3D 아이템을 만들어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제페토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제페토에서 요구하는 파일 형태로 만들어야 해요. 그럴 때 필요한 것이 ‘유니티(Unity)’라는 프로그램이에요. 제페토에서 바람에 나부끼는 것처럼 팔랑거리는 아이템을 본 적 있을 거예요. 양양은 이에 대해 “유니티라는 공간에서 물리 법칙을 적용해 움직이는 ... ...
- [꿀꺽! 수학 한 입] 분자는 항상 1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고대 이집트인들은 ‘단위분수’를 사용했어. 단위분수는 1/2, 1/3 처럼 분자가 1인 분수를 말해. 그래서 이집트인들이 분수를 그림으로 나타낼 때 분자는 따로 그릴 필요가 없었던 거야. 이집트인들은 2/3, 5/6 같은 모든 분수를 단위분수의 덧셈으로 나타냈어. 이집트인들의 분수 계산법을 한번 볼까?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