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교선생"(으)로 총 1,0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공작실] 빨대로 만드는 정사면체 복합체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학 원리가 적용된 멋진 도형을 직접 만들려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건 구성 원리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정사면체 복합체’의 구성 원리를 알아보고, 함께 만들어 봅시다! # 이대영 선생님은 수학 수업 시간에 나타나는 여러 규칙을 학생들이 직접 발견하고, 확인할 수 있는 수업 방법을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상선(商船) 제조 기술을 가진 나라다. 하지만 배를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과는 예상외로 많지 않다.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는 그 가운데서도 명실상부 최초, 그리고 최고다. 선박 엔지니어를 꿈꾸는 학생들에게는 선망의 대상인 학과라고 할 수 있다. 17, 18학번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반도에 더 이상 전쟁은 없다.” “우리는 결코 뒤돌아가지 않을 것.”“힘 모아 미래로 보폭 맞춰 전진.” 남북 정상회담이 있었던 2018년 4월 27일 판문점에 울려 퍼진 말이다. 가슴 뛰는 역사적인 순간에 서 있는 우리는 통일 이후를 준비해야 한다. 수학 교육의 통합은 그 과제 중 하나다.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소설 ‘용의자 X의 헌신’이 뮤지컬로 돌아왔다. 수학 공식처럼 완벽한 알리바이를 만드는 천재 수학자와 절대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천재 물리학자의 대결! 그들이 벌이는 치밀한 두뇌 싸움이 무대에서 펼쳐진다. 그날도 여느 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날이 ... ...
- Part 3. 수학과 예술을 잇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파티 음식을 너무 많이 먹었는지 슬슬 배가 부르군요. 자, 그럼 소화도 시킬 겸 뒤쪽에 마련한 공연장으로 이동하실까요? 눈과 귀가 호강할 시간입니다. 멋진 작품도 감상하고 예술가 겸 아마추어 수학자들의 이야기도 들어보죠. 유리공예가 겸 아마추어 수학자인 마틴 데메인은 ‘MIT 뉴스’와의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연세대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사실 내신이 연세대에 들어올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때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 ...
- [인터뷰] GIST 신입생대표 이민행과학동아 l2018년 05호
- ※ 편집자주최근 대학별 입시 제도가 다양해지면서 수석합격자에 해당하는 학생들의 ‘스펙’도 다양해졌다. 과학동아는 GIST의 지원을 받아 수석합격자에 부합하는 학생을 만나, 중·고등학교 시절 학업 방법을 듣고 이를 통해 대학 합격 비결을 분석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소외 질병을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수학자의 꿈은 2014년 수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자율 동아리를 만들면서 탄생했다. 미국에서 수학자의 연봉이 1위라는 기사를 보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수학자 또는 수학교사가 되는 꿈을 키워보자는 취지로 동아리를 만들었다. 강원도에서 자유학기제를 시작한 2016년부터는 자유학기제 동아리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스티븐 호킹은 우주가 왜 존재하는지 연구한 이론물리학자였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기반으로 우주의 시공간이 빅뱅으로 탄생해서 블랙홀로 사라진다는 이론을 폈다. 또 이 이야기를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라는 책으로 펴내 대중에게 큰 인기를 누렸다. 호킹의 일대기를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