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사"(으)로 총 1,3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교육원 탐방] 과학고 선배와 교류하는 장, 세종과학고등학교 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9호
- 소개하고, 수학이 얼마나 많은 분야와 연결돼 있는지 소개하자는 취지에서 시작한 행사”라며, “올해에는 3일 동안 40에 가까운 부스를 운영하고 수학 강연을 준비했으며, 3000명이 넘는 초·중·고 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많이 참여했다”고 말했다.수학체험전은 세종과학고 학생들이 주도해 ...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지도한 아버지의 제자입니다. 지금은 은퇴하고 도쿄에 머물며 다양한 학술 및 예술행사를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사진 찍는 걸 무척 좋아하세요. 지금 집에 도착했는데도 신발을 벗지 않고 밖에서 계속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18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Par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8] 문화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교회와 성당이다. 화려하고 뾰족한 첨탑과 십자가를 볼 수 있고, 예배 의식과 부활절 행사 등 기도하고 성경을 읽는 신도들을 볼 수 있는 기회가 많다. 이슬람교 문화권은 주로 건조 문화권과 일치한다. 이슬람교는 7세기 초 무함마드가 창시한 종교이며, 유일신인 알라가 예언자 무함마드를 통해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명이 강연합니다. 대회에 참석한 모든 수학자가 들을 수 있도록 기조강연 시간에는 다른 행사를 하지 않습니다. 이에 반해 초청강연은 수학의 세부분야에서 업적을 낸 수학자 200여 명이 강연하는 자리로, 보통 그 분야를 연구하는 수학자가 강연을 듣습니다. 한편 2018년은 뇌터의 대표 업적인 ... ...
- Part 5. 연구자와 대중 모두를 위한 ‘수학의 집’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집’에 옮겨서 전시할 예정입니다. 수학의 집에서는 지금보다 더 다양한 수학과 과학 행사를 체험할 수 있다고 하네요. 기회가 되면 여러분도 한번 찾아가 보세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예술의 도시에서 수학을 만나다. 파리의 수학자들Part 1. 신선들이 모이는 곳, IHÉSPart 2. ... ...
- [에디터 노트] ‘서밋’으로의 초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쏠리게 하기 위해 애썼다. ‘과학동아’가 2015년부터 매년 여름 개최하는 과학 대중강연 행사인 ‘사이언스 바캉스’는 과학의 서밋이다. 올해는 아주 작은 양자부터 무한한 우주까지 5개 분야에서 5명이 참석한다. 김상욱 경희대 교수(양자역학), 김재인 서울대 박사(인공지능), 김홍표 아주대 교수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해 과학적 감식을 진행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신원이 확인되면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진행하고, 화장 후 현충원에 안장된다. 하지만 신원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확인이 될 때까지 중앙감식소에 보관된다. 약 12만3000여 위의 호국용사들이 아직 수습되지 않은 채 땅속에 묻혀있는 것으로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다른 과학자들과 함께 소도시의 도서관에 가서 과학강연을 기부하는 ‘10월의 하늘’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했으니 올해로 벌써 9년째다.그는 “과학자를 한 번도 만난 적이 없는 어린이들은 과학자를 꿈꾸기 어렵다”며 “청소년에게 누구나 과학자가 될 수 있다는 꿈을 심어주기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생물은 호흡이나 광합성을 하면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 지구에 가장 큰 영향력 행사, 태양복사에너지지구 환경은 다양한 에너지에 의해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지구 시스템에 관여하는 에너지원은 태양복사에너지, 지구내부에너지, 조력에너지가 있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흥미를 갖고 즐기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학체험전이나 수학구조물 만들기 대회 같은 행사를 평화의 무대가 된 판문점에서 열어 수학을 남북 학생들이 함께 즐기다 보면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다가올 미래를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안을 제시했다. 한반도의 평화는 이제 시작이다. 수학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