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빨리 움직이는 자북, 이러다 혹시 지자기 역전?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역전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000~1만 년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지난해 중국, 대만, 호주 등 국제공동연구팀이 중국 구이저우성 산싱 동굴의 석순에 포함된 자기장 기록을 분석한 결과, 10만7000년 전에서 9만1000년 전에는 100~200년의 짧은 시간에도 지자기 역전이 일어났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 ...
- Part 3. 올림픽도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일 년 내내 비슷한 온도가 유지돼 에너지 사용량도 훨씬 적답니다. 2000년 열린 호주 시드니올림픽은 시드니 중심에서 약 14km 떨어진 ‘홈부시 만’에서 열렸어요. 1950년대까지 도살장과 벽돌공장, 쓰레기 처리장으로 쓰이다가 폐기물만 남겨진 채 방치된 곳이었지요. 아무렇게나 버려진 ... ...
- [가상인터뷰] 똑똑한 앵무새가 더 매력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5~10년 정도를 살아. 뾰족한 날개와 꼬리, 독특하고 화려한 깃털을 자랑하지. 우리는 호주 남부 초원지대, 건조한 지역에서 집단을 이루고 먹이를 찾아 이동 생활을 해. 집단을 이루면 먹이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우리를 잡아먹으려는 포식자로부터 안전하기 때문이야. 우리는 1840년대에 영국으로 ... ...
- [수학뉴스] SNS 계정 삭제해도 사생활 샌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SNS 게시물로 개인정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미국 버몬트대학교와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약 3000만 개의 트위터 메시지 내용을 수학의 한 분야인 정보 이론과 확률론으로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친구들이 올린 정보만으로도 소셜 미디어 계정이 없는 한 사람의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노아케스 교수는 이 논문들을 검토한 뒤 한국의 배가 숙취 해소에 도움을 주며, 호주에서는 ‘나시배(Nashi pear)’가 한국 배와 비슷한 성분을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고 정리했다. 이런 과학적 근거와 수많은 후기들에 힘입어(?) 갈아만든 배는 출시 20년 만에 다시 전성기를 맞았다. 해태htb는 2017년부터 ... ...
- Part 3. 편견 - 고인류는 야만인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극히 최근인 1만~3만 년 전에 그려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지난해 11월, 호주 그리피스대학교와 인도네시아 공동 연구팀은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 동쪽의 칼리만탄 지역의 동굴에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동굴 벽화를 발견했어요. 연구팀은 벽화에서 탄산칼슘 시료를 채취한 뒤 연대를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박사 학위를 수료한 전진경 카라 상임이사는 “우리나라도 고양이가 토착종은 아니지만, 호주와 달리 대부분 이 사람의 도움으로 도시에 살아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어요. 이어 “우리도 유기동물이 산과 섬으로 떠나지 않도록 책임지고 돌봐야 한다”고 강조했답니다. ‘들개’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해외 학자들을 초청해 이 발자국 화석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앤서니 로밀리오 호주 퀸즐랜드대 박사후연구원과 리다 씽 중국지질대 지구과학및자원학원 교수 등 해외 고생물학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됐다. 리다 씽 박사는 이렇게 작은 것이 공룡의 발자국일 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 ...
- [과학뉴스] 中 연구팀,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손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국제지능로봇및응용콘퍼런스’에서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공개했다. 첸 교수는 최근 중국신문망과의 인터뷰에서 “양산에 들어가면 로봇 손의 제조 원가를 1000위안(약 16만4000원)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특별 점수를 주기도 했다. 그런데 윌리엄슨 교수는 인문학이 본인과 맞다는 생각에 호주 시드니대학교 인문학부에 입학해 영문학과 철학을 공부했다. 윌리엄슨 교수를 수학자의 길로 이끈 건 2학년 때 들은 수학 강의다. 인문과학을 부전공하면서 순수수학 강의를 들었는데, 강의 주제가 ‘갈루아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