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그리스"(으)로 총 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2 놀라운 세상 - 우린 꼭 한쌍이여야 해!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많이 들어 봤죠? 정교한 움직임과 힘 조절이 필요한 젓가락을 사용하면서 손기술이 좋아진 거죠. 가장 오래된 가위는 기원전 1000년에 그리스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요. 가위가 이렇게 오래 전부터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죠? 둘이 함께 연주해 딱딱딱 딱딱~, 징~♪♬ 음악을 연주할때 리듬을 잡아 주는 악기인 캐스터네츠와 심벌즈. 캐스터네츠는 스페인 ...
- 줄무늬와 점무늬 옷을 입은 자연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수를 발명한 것도 알고 보면 손가락과 발가락을 쓰면서부터였으니 수학은 자연의 일부분인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나아가 그리스의 수학자였던 피타고라스는 이 세계의 근원을 수라고 보고 자연을 설명하는 원리로 수학을 사용했다. 그는 아름다운 음악도 숫자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고, 우주 속 행성의 운동까지도 수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믿었다. ...
- 토끼를 세자! 토끼어린이과학동아 l20060414
- 비, 식물의 잎차례, 바다의 파도, 태풍이나 은하의 형태에서도 나타난다. 고대인들은 황금비로부터 신비로움과 편안함을 느꼈다. 그리스 시대에서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건축물과 조각상에는 피보나치수열과 황금비가 숨어 있다. 케플러는 황금비에 의한 분할을‘신의솜씨에의한성스러운분할이라고 생각했다. [소제시작]3. 거울 나라 대칭의 마법에 빠지다[ ...
- 우리가 몰랐던 돈의 비밀(3)어린이과학동아 l20060131
- 동전 세 닢을 놓아두었어요. 저승길에도 돈이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이와 같은 풍습이 서양에도 있었다는 사실.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죽은 사람의 입에 은화 한 닢을 넣었다고 해요. 사람이 죽으면 검은 물이 흐르는 죽음의 강을 건너야 저승을 갈 수 있는데 그 때 낼 배 삯이 필요하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화폐 속에서 펼쳐지는 다양 ...
- 해리포터와 불의 잔어린이과학동아 l20051213
- 가득한 곳, 그 곳에서 해리포터의 영원한 적이자 어둠의 제왕인 볼드모트가 인간의 모습으로 부활한 거예요. 신화 속 미로 이야기 그리스 로마 신화를 읽어 본 친구들은 테세우스를 기억할거예요. 아테네의 가장 위대한 영웅 중 한 명인 그는 아버지를 찾아 떠난 여행 도중 많은 모험을 하게 됩니다. 용맹한 헤라클레스를 마음 속으로 존경하고 있었기에 테세 ...
- 공룡에 관한 여덟가지 미스터리(1)어린이과학동아 l20051031
- 영어로 '다이노소어(dinosaur)'라고 하는데요, 이 말은'무시무시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Deinos(데이노스)'와 '도마뱀'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sauros(사우로스)'가 합쳐져 만들어 졌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이 보기에 공룡의 화석은 엄청나게 큰 도마뱀처럼 보였던 것이지요. 2. 익룡과 수장룡은 공룡이 아니다?! {BI ...
- 부자되는 비결을 알고 싶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051031
- 비결이었다. 하지만 썰렁 홈즈 역시 그렇게 살아 왔다고 자부할 수 있지 않은가? 고뇌하는 썰렁 홈즈의 어깨를 토닥이며 아키네는 그리스의 전설적인 부자‘싸그리오 저그메우스’를 찾아가 보라고 했다. 세계 최고의 부자라는 저그메우스의 저택에 도착한 썰렁 홈즈. 하지만 썰렁 홈즈는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었다. 저그메우스가 이미 죽었기 때문. 하지만 저그 ...
- 화석 속에 숨겨진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051015
- 화석이 발견되며‘폭군 도마뱀’이란 뜻을 가진 공룡은 무엇인가? 3. 공룡의 이름은 국제적인 약속에 따라 반드시 두 단어의 그리스 어나 이 언어로 쓰여 진다. 이 언어는 무엇인가? 4. 우리나라에서 공룡의 발자국이 발견된 곳으로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 중의 한 곳이다. 백악기 공룡 발자국 화석이 3000여 개 이상 발견된 이 곳은 어디인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3)어린이과학동아 l20051010
- 생물 간의 선택이 이루어지고 이것이 반복되어 진화한다는 획기적인 아이디어였지. {BIMG_R12}5. 우리는비행형제,하늘을날아라!(1903년) 그리스 신화에 다이달로스라는 사람이 새의 깃털을 모아 밀랍으로 붙인 다음, 양 팔에 끼고 날았다는 이야기가 나와. 그만큼 인간은 오래 전부터 자유롭게 하늘을 날고 싶어 했던 거야.우리 라이트 형제는 새의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1)어린이과학동아 l20051010
- 1은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수를 나눌 수 있고 동시에 어떤 수로도 나누어지지 않는다. 숫자 1의 발견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1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1을 통해 수학을 발전시켜 나갔다. 1은 점을 나타내며‘현재’와‘지금’을 의미한다. 점은 차원이 없다. 그러나 점이 모여 선을 만들면 1차원이 되고 또 2차원, ...
이전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