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빛"(으)로 총 3,2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예삐네 - 240621 - 2탐사기록 l20240621
- 해바라기, 꽃잎이 붉은빛을 띄고 있었습니다. ...
- 그림 쉽게 그리는 방법 2탄!(2-2,최종편)기사 l20240621
- 먼저 그림자를 그릴 건데요,레이어를 추가하고 색칠 레이어와 밑그림 레이어 사이에 끼워줍니다. 그리고 그림자를 칠해주는데요,빛이 어디서 들어오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가상의 해를 그려서 하면 쉽습니다!그림자는 칠한 색보다 조금 어둡게 해주세요. 그리고 이제 흐림 효과를 내줄건데요,방금 색칠한 부분을 다 흐려줍니다. 이제 조금 입체적이지 않나요 ...
- (현장미션)이제 우주개발의 시대가 아니라 우주활용의 시대이다.기사 l20240619
- 열기가 닿지 않는 극지방에 영구음영지역이 있는데 그 곳에 얼음이 있어서 식물을 키우는 연구를 중국에서 하고 있어요. 빛이 닿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 영상을 촬영할 쉐도우 카메라가 세계 유일 다누리에 탑재되어 있다고 하니 연구결과가 언젠가는 나오겠죠? "라는 답변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꿈을 꾸고 계신가요? 우주에서 위성을 ...
- 수원시의 영원한 마스코트, 수원이!!기사 l20240618
- 가지고 있습니다. 수원청개구리는 청개구리와 그 외모가 비슷해 판별하기 힘들며 울음주머니가 부풀었을 경우 청개구리보다 노란빛을 띄는 것이 특징입니다. 두 동물을 비교하는 또다른 방법으로는 울음소리를 비교하는 것입니다. 수원 청개구리는 높은 소리를 내고 "꽥꽥"하는 청개구리와 다르게 낮은 소리로 "끅끅"하며 울어대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
- 태양에 대해서포스팅 l20240617
-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태양의 겉표면인 코로나의 온도는 5,600도나 되며 태양의 중심부는 무려 1500만 도나 됩니다. 태양에서 오는 빛은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 우리가 볼 수 있는 건 가시광선 뿐입니다. 태양은 71억 년 후에 적색 거성으로 변해서 수성, 금성 그리고 지구를 집어삼킬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 후에는 ...
- 지구사랑탐사대에서 떠난 신비로운 섬 "야쿠시마" 캠프를 소개합니다기사 l20240617
- 생생한 산란 현장을 직접 보는 상황이 경이롭고 긴장되었습니다. (참고로, 바다거북의 산란 현장은 사진을 찍을 수 없습니다. 빛이 나는 것이 방해가 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오 일째 날에는 일어나자마자 야쿠스기 박물관에 가서 놀다가 3박 4일을 함께한 탐사대원들과 헤어졌습니다. 여행하며 친해졌는데 헤어진다고 하니 아쉬웠습니다. ...
- 천둥번개가 아닌 번개천둥기사 l20240615
- 안녕하세요? 황세현 기자입니다. 천둥번개 보신적 있나요? 먼저 빛이 보인 다음에 번개 소리가 납니다. 이번에는 그 이유를 탐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이유는 빛과 소리의 속력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빛은 소리보다 빠릅니다. 그럼으로 같은 시간에 출발했어도 번개가 더 빠릅니다. 다음에는 ...
- 지구지킴e - 240614 - 1탐사기록 l20240614
- ...
- 달 따러 가요!(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현장 미션)기사 l20240613
- 카메라, 자기장 측정기, 광시야 편광카메라, 고해상도카메라가 그것이에요. 그 중 감마선 분광기는 달을 수직방향으로 스캔해서 빛이 나눠지는 것으로 달 지도를 만드는 중요한 탑재체에요. 감마선 분광기를 바로 김경자 박사님이 개발하신 거라니 너무 굉장해 보고도 믿기지 않았어요. 그 감마선 분광기로 달 표면 자원을 탐사한다고 해요. 10초마다 자료를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을 다녀오다!기사 l20240613
- '영구음영지역 카메라'만 NASA가 만들고 나머지는 모두 우리나라에서 만들었습니다. 그 중에서 KIGAM에서 만든 는 빛의 파장을 이용해 달 표면에 있는 자원들을 탐사합니다. 제 방 천장에는 이 달려 있는데요. 김경자 센터장님이 어디에 달려 있는지 강의 때도 알려 주시고, 연구실로도 초대해서 다누리 모형을 보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