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전"(으)로 총 4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돼지,오해가 있다!기사 l20200303
- 게다가 돼지는 75~85로 강아지보다 높고, 3~4세아이의 지능과 비슷합니다. 또한 돼지는 후각이 많이 발달해 있는데, 돼지 후각수용체 유전자 수는 1,301개로 많습니다. 이 후각을 이용해 비싼 송로버섯을 찾는 돼지도 있습니다. 이제 돼지에 대한 오해가 풀리셨나요? 지금까지 오성현 기자였습니다 ... ...
- 곤충의 날개의 기원은?기사 l20200229
- 그 조그만 돌기가 날개로 진화하는 계기가 되었을 거라 본다. 그러나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아가미 날개설이 다시 힘을 얻고 있다.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연구결과가 아가미 날개설을 뒷받침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오래된 날개 있는 곤충 화석이 나오고, 유충이 물 속에서 살았을 거라고 추정되는 화석으로 나 ...
- [어과동 추천 영상] 우리는 우주의 먼지에 불구하다?!놀이터 l20200220
- 보면 머리카락도 볼 수 없을 만큼 매우 작은 편이거든요. 그렇다면 얼마나 작을 까요? 우주는 또 얼마나 클까요? 우리 몸 속의 유전 물질들은 얼마나 작고 물질을 이루는 가장 작은 원소의 크기는 얼마나 될까요? 아래 영상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 ...
-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와 그에 대한 대처방법을 알아봅시다!기사 l20200201
- 하고 먹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또, 이는 동물과 사람 모두가 감염될 수 있어서 사람이 야생동물과 접촉하면 바이러스가 생존을 위해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사람에게도 넘어온다고 합니다. 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더러운 손으로 입에 손을 넣고, 코를 만지고, 눈을 비비면 감염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대처 방법은 최근 14일 이내 중국 ...
- 아름다운 '팀보타63' Botanic Effect 전시와 신비하고 즐거운 '아쿠아플라넷 63' 한번에 즐기기기사 l20200118
- 우리가 흔히 다리라고 알고 있는 건, 펭귄의 발이었습니다. 그리고 펭귄은 눈으로 암수 구별이 어렵다고 합니다. 그래서 털을 뽑아 유전자 검사를 해야 암수구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쿠아플라넷63'에서는 암수구별이 쉽습니다. 왼쪽에 팔찌를 찬 펭귄은 암컷, 오른쪽에 팔찌를 찬 펭귄은 수컷입니다. 그리고 팔찌의 색깔이 같은 펭귄끼리 서로 ...
- 멸종위기 동물들을 지키자!기사 l20191125
- 위기 동물들의 유전자를 연구하고 멸종된 동물들을 복원하는 일을 한다. '종복원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수의학, 축산학, 생물학, 유전공학 등을 전공하는 것이 좋고, 수많은 동식물이 가진 각각의 특성에 대한 지식과 사육 및 관리 기술도 필요하다. 나는 '종복원 전문가'가 되려면 동물과 식물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 ...
- 지난 여름방학 때 서울대학교 김준 연구원님의 한국 선충 강연 및 연구실 견학탐사기록 l20191027
- 느꼈다. 연구원님께서 선충은 수명이 60일 정도이고 키우기도 쉬워서, 여러 대를 거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확인해야하는 유전공학 실험을 하기에 아주 좋은 생물이라고 설명해주었다. 강연이 끝났을 때에는 현미경을 통해, 직접 선충을 관찰해볼 수도 있었다.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선충의 신비로운 이야기들도 들으며, 나도 '예쁜꼬마선충'을 키 ...
- 범죄자의 DNA를 미리 보관하는 법은 필요할까요?토론 l20191002
- ‘화성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의 자백으로 사건이 해결될 수 있었어요. 33년 만에 유력 용의자를 찾은 핵심 열쇠는 발전한 유전자 분석 기술과 강력범죄를 저지른 범인의 DNA를 보관한 데이터베이스 덕분! 만약 DNA 기술이 크게 발전하지 않았다면, 그리고 유력 용의자의 DNA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돼 있지 않았다면 사건은 풀리지 않았을 거예요 ...
- 삼색고양이 털속에 숨은 과학적 비밀은??기사 l20190928
- 특정 품종이 아니라 털색에 따라 부르는 이름입니다. 삼색고양이 중 거의 대부분은 암컷! 알고 계셨나요? 이런 특히한 현상의 비밀은 '유전'이라고 하는데요. 더 자세히 말하면 '*성염색체'때문 입니다. 고양이도 사람과 같이 성염색체를 가집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X염색체에 의해 고양이의 털색이 결정됩니다. (*성염색체란, 성을 결정하는 ...
- 김준연구원님의 선충 특별강연기사 l20190922
- 개정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세포의 관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유전자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져서 모든 유전자의 서열이 밝혀졌고, 신경계가 단순해서 신경연구에 모델로도 많이 쓸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선충 채집법인데요, 선충을 찾으려면 아주 많이 썩은 과일이 필요해서 과수원이나 산이 탐사장소로 좋다고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