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뉴스
"
감염
"(으)로 총 10,591건 검색되었습니다.
9년 지연된 국제핵융합, 민간에 따라잡힐라…"여전히 중요한 시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에너지를 무한정 얻을 수 있다. ITER 가동이 지연된 원인으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COVID-19·코로나19) 팬데믹으로 참여국 간 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점이 지목된다. 여기에 부품의 부식 및 완성품의 결함으로 장비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해진 것도 지연의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 ... ...
사이언스미디어센터, 내년 첫발…"가짜 과학정보 걸러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정보를 언론을 통해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조 이사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COVID-19·코로나19),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등 한국에서도 과학기술과 관련한 이슈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가짜 과학정보'가 아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는 기관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며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후성유전학적 흔적이 남아 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며 “어쩌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COVID-19‧코로나19) 이후에 겪는 롱-코비드 역시 조절 T세포에 남은 흔적이 원인일 수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13일 국제학술지 ‘간장학회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소 생간 먹고 생긴 1급
감염
병 '야토병'…"발열 동반 인수공통
감염
병"
동아사이언스
l
2024.07.08
간
감염
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지만 전파력이나 치명률을 반영해 정해지는 1급 법정
감염
병으로 지정돼 있다. 야토병의 치명률은 2~8%로 알려졌다. 야토병의 증상은 유형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모든 유형에서 발열이 발생한다. 야토병의 약 80%를 차지하는 피부궤양성림프절형 야토병의 경우 ... ...
'김치 식중독 1000여명' 英 BBC도 주목…사시사철 위험한 '노로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이어질 수 있다. 대학병원 등 의료기관의 대변검사를 통해 일반 장염인지 노로바이러스
감염
증인지 확인할 수 있다. 복통, 설사 등의 증세가 나타날 경우 성급히 지사제를 복용하는 것보다는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는 게 좋다 ... ...
뎅기열에 걸리면 열이 나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7.06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중증 뎅기
감염
증의 사망률은 20%에 달합니다. 뎅기바이러스에
감염
된 모기가 사람을 물면 모기 안의 바이러스는 우리 몸으로 들어오려고 해요. 이때 제일 먼저 피부라는 장벽에 부딪힙니다. 몸의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피부는 방어막 역할을 하며 바이러스나 세균의 침입을 ... ...
[동물do감]
감염
된 동료 다리 '절단 수술' 집도하는 개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개미가 다리를 절단하는 속도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추가 실험 결과 경골 부상의 경우
감염
후 다리를 즉시 제거하지 못하면 생존하지 못했다. 연구의 공동교신저자인 로랑 켈러 스위스 로잔대 생태진화학과 교수는 "해로운 박테리아 확산을 막기 위해 다리를 충분히 빨리 절단할 수 없다"고 ... ...
'인공 태양' ITER 2034년 첫 가동…에너지 생산은 2039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4
ITER)의 첫 가동 계획이 2025년에서 2034년으로 미뤄졌다. 제조 결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 대유행 등에 더해 프랑스 원자력 규제당국의 안전 우려 등 복합적인 원인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ITER는 기존 계획보다 9년 뒤인 2034년에 처음 가동되고 핵융합을 ... ...
코로나19 '빠른 증식' 이유 찾았다…약물 재창출 가능성도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9에 의한 폐 병변이 현저히 완화된 모습을 보였다. 기존 치료제를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병 억제 목적으로 용도 변경하는 '약물 재창출'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신호 전달 및 표적 치료’에 5월 게재됐다 ... ...
"美 젖소·사람
감염
시킨 조류독감, 호흡기 전파는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4.06.30
세 번째
감염
자는 호흡기 증상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농장 근로자들의 바이러스
감염
을 막는 것은 바이러스가 인간 숙주에서 진화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현재 최신 변종 바이러스가 호흡기 질환처럼 작동하는지 여부는 알 수 없는 상황이다. 리히트 교수는 "앞으로 이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