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학교"(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에 밀린 기자, 밥 먹고 살 수 있을까요?2016.03.20
- 인공지능 바둑 기사(?) 알파고가 이세돌 9단에 승리를 거두었습니다. 오롯이 인간의 영역이라고 믿어왔던 직관과 통찰의 영역도 사실 기계가 할 수 있고, (충분한 데이터와 분석 능력만 갖추면) 더 잘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눈앞에서 확인했다는 점이 가장 충격적입니다. 우리가 ‘직관’과 ‘통찰’ ... ...
- 보건당국, 건대 폐렴 원인으로 ‘방선균’ 추정포커스뉴스 l2015.12.08
- 역학조사 중인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양병국)와 민간역학조사자문단(자문단장 고려대학교 천병철 교수)은 8일 “건대 호흡기질환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 국내에서 보고된 적 없는 방선균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방선균은 토양과 식물체 등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세포가 실모양으로 연결돼 있고 그 ... ...
- [청년드림]“공짜 프린팅으로 43만 대학생 홀렸죠”동아일보 l2015.05.13
- [동아일보] [내가 청년 리더]모바일 결제 전문 애드투페이퍼 전해나 대표 “비싼 등록금과 만만치 않은 생활비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친구가 참 많잖아요. 적어도 공부할 때만큼은 이런 걱정을 떨쳐 버릴 수 있다면 참 좋을 텐데….” 2011년 6월. 서울 성북구 안암로 고려대 중앙도서관에서 만난 ... ...
- 18.9조원 R&D 예산 다루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신규 전문위원 위촉2015.01.05
-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공. 올해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18조9000억 원을 심의하고 과학기술 관련 주요 정책을 검토하는 국가과학기술심의회가 6개 기술 분야 전문위원회 위원 96명을 새로 위촉했다고 5일 밝혔다. 신규 전문위원은 공공·우주, 에너지·환경, 기계·소재, 정보통신기술(ICT)· ... ...
- 멈추지 않는 에너자이저, 열정으로 새로운 꿈을 꾸다.동아사이언스 l2014.12.29
- 약속했고, 결국 그녀는 교수로 채용됐다. 그리고 약속대로 풀타임 근무를 하면서 고려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마쳤다. 그녀의 아버지는 무척 좋아하시며 당신의 법학박사 학위와 그녀의 전자공학박사 학위를 나란히 걸어 놓았다고 한다. “교수는 박사학위가 당연히 있어야 하고 통신분야 ... ...
- 한국인 하루 우유 섭취량, 오히려 부족하다?동아닷컴 l2014.12.01
- [동아닷컴] 우유 섭취가 유해하다는 외국 학계의 주장에 대해 한국인과 무관하다는 반론이 나왔다. 한국인은 하루 우유 섭취량이 적어 유해할 수준이 되지 않는다는 요약. 최윤재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는 지난달 20일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축산물 바로 알리기 연구회’ 제3차 연구 월례발 ... ...
- 약사를 넘어, 세계적인 독성전문가로!동아사이언스 l2014.11.04
- 정은주 안전성평가연구소(KIT) 독성평가연구본부장은 안전성평가연구소를 대표하는 독성전문가다. 그녀는 국내 비임상시험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기여했고, 이 과정에서 총 12건의 안전성평가 기술을 확립했다. 이러한 그녀의 노력은 국산 신약에 대한 국제적인 신뢰도를 높였고, 국내 ... ...
- 하루 우유 세 잔 이상 위험? 전문가 “한국선 적용 어려워”동아닷컴 l2014.10.30
- [동아닷컴] '하루 우유 세 잔 이상'마시면 사망 위험률과 골절률이 높을 수 있다는 스웨덴 웁살라 대학의 연구결과와 관련해 우유 소비 촉진단체인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30일 "엉성한 연구"라고 반박했다. 전문가들은 설령 타당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하루에 1인당 100㎖도 안 마시는 우리나라 사람 ... ...
- 송편과 같이 먹은 솔잎, 진짜일까?동아사이언스 l2014.09.09
- 송편을 쪄낼 때 쓰는 소나무 잎. 여러 상록침엽수의 잎 중 소나무 잎은 2~3개씩 모여나고 비틀렸다는 특징이 있다. - 동아일보DB 제공 온 가족이 한 자리에 모이는 민족의 대명절 추석. 설 하면 떡국이 떠오르는 것처럼 추석하면 '송편'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송편의 '송'은 소나무를 의미하는 ... ...
- [新 알파우먼, 엄마에서 과학자로 ①] “직장맘 힘든 생활도 사랑으로 극복”2014.08.19
- ※편집자 주 우수한 여성 인력이 ‘엄마’가 됐다는 이유로 직장을 떠나고 있다. 이런 여성 인력을 가리켜 ‘경력단절 여성’이라고 한다. 과학계도 상황은 다르지 않다. 아무리 뛰어난 연구원이라도 출산과 육아라는 현실에 직면하면 과학자의 옷을 벗을 수밖에 없다. 최근 이런 경력단절 여 ... ...
이전252627282930313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