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
정신
머릿골
뇌
두상
지능
지성
뉴스
"
두뇌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녀의 키를 키울 수 있는 가장 손쉬운 방법
2017.06.10
연구결과도 있고요. 대표적인 고단백 식품으로서 근력강화에도 좋습니다. 또한
두뇌
에 좋은 레시틴 및 콜린의 함유량이 높아 기억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켜주는 것은 물론 철분 함량도 높아 빈혈 예방에도 효과적입니다. 이렇게 많은 장점이 있는 달걀, 아이들에게 먹이지 않을 이유가 없겠지요? ... ...
음식 섭취량 줄여, 살 빼주는 디자인
팝뉴스
l
2017.06.04
많아서 남긴 적이 없는가? 그 이유는 눈이 배보다 크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우리
두뇌
는 음식의 양을 가늠할 때 실수가 흔하다고. 반대로 음식이 많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적을 때도 있고, 인공적으로 그런 환상을 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로 이 점에 착안해서 ‘다이어트용 디자인’을 ... ...
영아기 때 아빠의 육아가 꼭 필요한 이유
2017.06.04
된 아이들과 어떻게 교감하는지 지켜봤습니다. 그리고 그 아이들이 만 2세가 되었을 때
두뇌
발달 사항을 측정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고 합니다. 아이들이 태어나 처음 몇 개월 동안 아빠가 적극적으로 놀아준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사고 능력 테스트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입니다. ... ...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 향의 효능은?
2017.05.06
추출법을 통해 추출하지요. 로즈마리의 효능으로는 정신적 피로와 무력감을 완화시키고
두뇌
활동에도 영향을 미쳐 두통, 편두통에도 좋을뿐더러 기억력 향상에도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최근 영국 노섬브리아대학교의 연구진은 이 기억력 향상과 관련해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했고, 그 ... ...
두뇌
의 능력,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7.04.06
전류를 수동적으로 통과시키는 전선 역할만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실험쥐
두뇌
의 후두정피질 근처에 전극을 붙인 뒤 미로에 넣고 4일 동안 관찰했다. 후두정피질은 주로 운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이다. 그 결과 쥐가 미로를 찾아 헤맬 때 수상돌기는 세포체보다 최대 10배 많은 전류를 ... ...
뇌-기계 연결 기술 실용화 성큼… ‘고효율 뇌신경 탐침’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4.03
개발했다. 기존 뇌신경 탐침에 비해 성능이 월등하고 인체 안전성도 높은 것이 장점이다.
두뇌
와 각종 기계장치를 직접 연결할 수 있는 ‘뇌-기계연결 기술’ 실용화를 한층 더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장재은·최지웅 교수팀은 같은 학교 ... ...
[카드뉴스] 전략적으로 귀엽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8
귀여움이 어른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아주 강력한 신호이기 때문이에요. 우리
두뇌
에는 쾌락중추가 있어요. 쾌락중추가 자극을 받으면 우리는 기쁨을 느끼고,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일을 계속 하려고 해요. 특히 뇌는 생존에 필요한 행동을 할 때 쾌락중추를 활성화 시키는데요. 아기의 귀여운 ... ...
아날로그 방식의 ‘인공
두뇌
’ 전자회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24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컴퓨터에 설치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넘어선 ‘인공
두뇌
시스템’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사람 손글씨 기억하고 구별해 낼 수 있는 ‘모방소자’를 최성진-김성호 교수팀이 개발했다. 최성진 국민대 전자공학부 교수팀은 김성호 세종대 ... ...
머리가 좋을 수록 잘생긴 배우자 고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23
두뇌
크기가 작은 암컷은 수컷의 색과 상관없이 짝짓기 상대를 선택했습니다.
두뇌
크기가 작은 암컷의 눈에 딱히 문제가 없음에도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자연에서 수컷은 다른 수컷보다 더 돋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화려한 외모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코랄-로페즈 박사는 “동물 집단의 ... ...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012년 피츠버그대 의대 연구진은 9년 동안 사지를 움직일 수 없었던 환자의 두개골을 열고
두뇌
에 직접 전극을 시술했다. 환자는 이 시술 후 침대머리에 설치된 로봇 팔을 생각만으로 움직여 초콜릿이나 커피 등 음식을 스스로 집어 먹었다. 국내에선 신형철 한림대 교수 팀이 이 방법으로 2009년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